경남도가 집중호우 피해에 대한 정밀 조사에 착수하며 국비 지원과 복구 계획 수립을 본격화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편성한 중앙합동조사단이 27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도내 피해 지역 전반을 실사하면서 공식 피해 규모와 복구 설계가 구체화할 전망이다.
조사단은 행안부 재난복구지원국장을 단장으로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민간 전문가 등 100여명으로 구성됐다. 진주시에 현장조사본부를 설치하고 도내 공공·사유 시설 피해를 전방위로 점검할 예정이다. 조사는 ‘자연재난조사 및 복구 계획 수립 편람’에 따라 진행되며, 조사 결과는 복구비 산정과 국비 지원의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
공공시설은 피해 추정액이 3000만원 이상이면서 복구비가 5000만원 이상일 경우 전수조사 대상이 되며, 사유 시설은 시군이 조사하고 중앙부처가 이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도는 현장의 피해량 산정 시간이 부족하다는 우려를 반영해 국가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 입력 기한 연장을 행안부에 공식 요청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26일 산청군 수해 현장을 찾아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박 지사는 산사태 피해를 본 신등면 사정마을과 마을 전체가 내려앉은 생비량면 상능마을을 차례로 방문해 “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시설과 육묘 피해에 대해 정부 지원을 건의하고 도 차원의 대책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박명균 행정부지사는 진주시와 하동군의 딸기 육묘 시설하우스 피해 현장을 찾았다. 진주시 수곡면 원계마을에서는 597동이 침수돼 70억원, 하동군 옥종면 병천리 일대는 1246동이 침수돼 102억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도는 진주시 농업 피해를 200억원, 하동군은 107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도는 산청·합천·의령 등 3개 시군에 총 9600만원의 재난 구호 지원사업비를 지급하고, 공공시설 응급 복구 1743건 중 987건을 완료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