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부품과 기계장치부품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A사는 최근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혼선을 겪었다. 지난 5월 수입산 자동차부품에 관세 25%가 적용하면서 A사 제품도 관세 리스트에 포함됐는데, 거래처로부터 “부품을 자동차가 아닌 기계장치에 사용할 예정인데, 관세 대상이 맞느냐”는 문의가 들어와서다.
A사는 실제 쓰이는 용도에 따라 관세 적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의 ‘관세대응 119 종합지원센터’의 문을 두드렸다. 이에 센터는 자동차가 아닌 경우 목록에 올랐더라도 관세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근거 규정을 찾아 안내했고, A사는 불필요한 추가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었다.
미국에서 기계 부품 일부를 수입해 한국에서 완제품을 만든 뒤 다시 미국으로 수출하는 B사는 원산지 규정이 복잡해 상담을 요청했다. 상호 관세 행정명령이 시행되면 원산지 규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센터는 상호 관세 행정명령이 시행되면 미국산 가치가 20% 이상인 제품은 비 미국산 가치에만 상호 관세 10%가 부과되고, 만약 재료가 100% 미국산이면 상호 관세 0% 적용도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B사는 미국산 원산지 증명서를 준비하는 등 원산지 판정에 집중할 예정이다.
미국이 상호 관세 부과 시점으로 정한 ‘8월 1일’이 임박하면서 초조한 수출기업들의 관련 문의도 급증하고 있다. 24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 2월 18일 가동된 관세대응 119 종합지원센터에는 지난 23일까지 총 5646건의 상담 문의가 접수됐다. 하루 평균 문의가 36건에 이르는 셈이다.
구체적 상담 내역을 보면 관세 관련 문의가 3731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으로 커지면서 기업들이 품목별 관세·상호 관세 대상 여부, 관세율 등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고 센터 측은 설명했다.
대체 시장 발굴(368건)과 생산 거점 이전(194건) 등 신시장 공략에 대한 상담도 이어졌다. 미국 시장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면서 미국 내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거나 대체 시장을 모색하려는 수요가 많다는 얘기다.
상담 문의는 특히 이달 들어 급증했다.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 발표 이후 하루 200건까지 폭증했던 상담 건수는 지난 6월 평균 20~30건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이달 들어 하루 90여건까지 접수될 정도로 문의가 늘었다. 센터 관계자는 “상호 관세 부과가 유예된 이후 추후 소식에 대한 관심이 커진 영향”이라고 전했다.
수출업계에선 일본, 필리핀 등이 미국 정부와 무역 합의를 매듭지으면서 한·미 간에 책정될 관세율에 대한 관심과 긴장이 더욱 높아진 상황이다. 재계 관계자는 “관세율이 어느 정도로 정해질지 관심도가 높은 상황”이라며 “조금이라도 기업 부담이 줄어들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