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치금’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 재산 작년보다 늘었다

입력 2025-07-25 00:05
사진공동취재단

최근 ‘영치금 모금’ 논란이 일었던 윤석열(사진) 전 대통령의 재산이 공개됐다. 지난해 신고했던 74억8112만원보다 5억1003만원 증가한 79억9115만원으로 집계됐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5일 지난 4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 임용됐거나 퇴직하는 등 신분이 변동한 고위 공직자 54명의 수시재산등록 사항을 관보에 공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퇴직자 재산상위자 3인은 윤 전 대통령,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탄핵된 윤 전 대통령의 경우 79억9115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본인 명의 예금이 6억6369만원,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 소유의 재산(토지·부동산·예금)이 73억2746만원이었다. 김 여사는 예금만 50억원 넘게 갖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윤 전 대통령 재산은 앞서 지난 10일 재구속됨과 동시에 화제가 됐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 사이에서 영치금 모금 독려 움직임이 일었는데, 정치권에선 이를 정치적 비즈니스로 보며 75억원에 달하는 윤 전 대통령 부부의 재산을 거론한 바 있다.

이번에 공개된 윤 전 대통령 재산은 이보다 5억원 더 많다. 김 여사 명의 부동산과 토지 가격 상승, 윤 전 대통령 등의 급여 소득에 따른 증가로 보인다.

퇴직자 중 재산 2위를 기록한 최 전 장관은 45억1483만원을 신고했다. 지난해보다 4943만원 늘었다. 홍 전 시장은 지난해보다 448만원 증가한 42억6370만원을 신고했다. 이밖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10억9043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982만원 늘었다.

현직자 중 신고 재산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이준일 주이라크 대사로 본인과 가족 명의 재산 총 52억7916만원을 신고했다. 본인과 배우자 소유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와 배우자 명의 사무실 임차권 등 24억7300만원의 부동산이 포함됐다. 조정아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이 44억1521만원을 신고해 이 대사 뒤를 이었다. 조 사무처장은 전북 익산시 오산면 토지와 경기도 안양·고양시 아파트 등 18억3696만원의 부동산을 자신과 가족 명의로 보유하고 있다. 3위는 정기홍 외교부 공공외교대사로 41억7461만원을 신고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