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후폭풍 맞은 민주당, 제 식구 감싸다 민심 놓쳤다

입력 2025-07-25 00:00 수정 2025-07-25 15:31

더불어민주당이 강선우 의원의 ‘보좌진 갑질’ 의혹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제 식구 감싸기’라는 부끄러운 민낯을 노출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당 지도부 등 주요 인사는 논란을 무마하는 과정에서 실언으로 2차 가해를 저질렀고, 다수 의원은 대통령실 눈치를 보며 침묵으로 일관했다. 진보 성향의 시민단체와 여성계까지 반대에 나서며 핵심 지지층 균열 우려가 제기됐지만 맹목적인 방어로 일관하다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는 평가다.

한 민주당 보좌진은 24일 국민일보에 “당 대응 과정에서 피해자 보호와 진상규명에 대한 명확한 원칙이 없던 점이 아쉬웠다”며 “피해자의 목소리는 배제되고, 2차 가해 프레임이 만들어졌다”고 지적했다. 김병기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갑질 의혹 보도 직후인 지난 10일 일부 기자들에게 “(의혹을 제기한) 보좌진이 이상하다고 볼 수도 있지 않으냐”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운영수석을 맡고 있는 문진석 의원도 “일반 직장 내 갑질과 의원·보좌진 관계는 다르다”며 강 의원을 옹호했다. 논란이 커지자 “강 후보자의 갑질을 옹호한 건 아니었다”고 해명했지만 보좌진 사이에선 별 것 아니라고 치부하며 더욱 분노하게 만들었다는 비판이 나왔다. 한 중진 의원은 “취지는 알겠으나 오히려 국민적 화를 키우는 발언이었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지도부 대응이 ‘피해호소인 시즌2’와 닮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민주당이 2020년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이라고 칭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던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여당이 용산 심기만 살피다 여론 흐름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대통령실이 지난 22일 국회에 강 의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하며 임명 강행 의지를 드러내자 당 지도부는 ‘적극 방어’ 모드로 전환했고, 대다수 의원은 침묵으로 용인했다. 강 의원이 전날 자진 사퇴를 발표하기 직전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이는 없었다고 한다. 논란이 장기화하면서 이소영, 김남희 의원 등 극소수 의원만 소셜미디어를 통해 비판적 견해를 밝혔다.

강 의원 사퇴 문제는 민주당 전당대회의 돌발 변수로도 부상하고 있다. 강 의원의 거취 문제를 두고 정청래 후보와 박찬대 후보가 정반대 의견을 냈기 때문이다. 박 후보는 강 의원의 후보자 자진 사퇴 입장 발표 17분 전 결단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냈는데, 이를 두고 대통령실과의 사전 교감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박 후보 지지자들은 명심(明心)이 박 후보에게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반면 갑질 논란에도 불구하고 강 후보자를 응원해 왔던 정 후보 지지자들은 ‘박 후보가 당원을 배신했다’며 박 후보를 비난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날 강 의원에 대한 징계요구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