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주간의 강선우 논란, 여당은 내내 민심과 괴리돼 있었다

입력 2025-07-25 01:20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 철회에 이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면서 내각 지명자 중 가장 논란이 많았던 두 사람이 모두 낙마했다. 첫 인선의 오점임이 분명하지만, 새 정부에 대한 국민 평가나 국정 동력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듯하다. 이의를 제기한 여론이 수용된 셈이니 국민 눈높이에 맞춘 결과가 됐다. 오히려 임명을 강행했다면 타격이 컸을 것이다. 문재인정부에서 숱한 논란에도 끝내 임명했던 조국 법무부 장관, 윤석열정부에서 들끓는 경질론에도 끝내 유임시켰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사례는 민심에 맞서는 인사의 후폭풍을 보여줬다. 인사 실패의 실점보다 ‘여론을 듣는 정부’ 모습에서 얻는 득점이 때로는 더 클 수 있다.

문제는 두 후보자의 낙마 과정, 특히 국회의원인 강 후보자 갑질 논란에 더불어민주당이 대응한 방식이었다. 자기 당에서 터져 나오는 폭로를 보면서도 그 많은 의원이 모른 척 아닌 척 후보자를 옹호하며 대통령의 인사를 관철하는 데 골몰했다. 폭로가 시작되고 사퇴하기까지 2주 동안 강 후보자가 물러나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낸 의원은 거의 없었다. 사퇴 2시간 전 의원총회도 아무 말 없이 지나가 17분 전 박찬대 의원의 사퇴 촉구 입장문이 사실상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오히려 “보좌관이 이상하다”거나 “일반 직장 갑질과 의원-보좌관 관계는 다르다”는 식의 말을 꺼내 2차 가해 논란을 불렀고,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하려 했던 배경에도 당 지도부의 건의가 있었다.

이는 후보자의 적격성을 따지는 국회 본연의 역할을 의원들이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았으며, 했더라도 선뜻 나설 분위기기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동료 의원을 감싸고, 우리 편을 지키고, 대통령의 선택에 코드를 맞추는 기류 속에서 거대 여당은 여론과 동떨어진 2주를 보냈고, 민심에 맞서는 인사로 이어질 뻔했다. 새 정부 첫 인사청문회를 치르며 민주당이 보인 모습은 야당 시절 그렇게 비난했던 인사철의 국민의힘과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이재명정부의 성공을 바란다면 민주당부터 많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