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네이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찾아 한국만의 AI 경쟁력 확보의 시급성을 역설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 생태계 구축에 실패하면 한국 AI 생태계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며 향후 2~3년을 AI 생태계 조성의 마지노선으로 제시했다.
배 장관은 24일 세종에 있는 AI 데이터센터 ‘네이버 각 세종’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업계 인사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NHN클라우드 등 기업 관계자와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배 장관은 간담회에서 AI 대전환을 위해 ‘속도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AI 3대 강국 도약과 관련해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목표 물량인 5만장을 (현 정부 임기인) 5년 내에 달성하는 게 문제가 아니라, 2~3년 안에 승부를 봐야 할 것 같다”며 “더 짧게 보면 향후 1년간 우리 행보가 앞으로의 생태계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소버린(한국형) AI 구축과 관련해서는 “우리 기술력을 갖고 경쟁력 있는 글로벌 AI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라며 “각 기업에서도 내부 업무 문서, 공개할 수 없는 정보를 AI에 올려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사업자에 의존하지 않고 가격 경쟁력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독자적인 국내 데이터센터가 필수”라며 “인허가·규제 문제로 건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을 알고 있다.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AI 연구자 간 네트워킹 시스템 부재,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된 건축·전력 규제 등 현실적인 벽에 대한 고충을 쏟아냈다. 데이터센터 부지 인근 주민들이 시설을 유해하다고 오해해 반대 운동을 벌이는 등 건립이 지연되는 현실에 대한 토로도 나왔다. 배 장관은 “AI 분야에서 정부가 무조건 드라이브를 건다고 해서 기업이 따라오는 게 아니다”며 “인허가 간소화, 세제 혜택을 꼼꼼히 챙기고 (업계의) 가장 고민되는 사항일 전력 문제 등도 잘 살펴 풀어야할 규제를 풀겠다”고 말했다.
세종=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