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복구 속 ‘SNS 선거전’ 정청래·박찬대 선명성 경쟁

입력 2025-07-23 02:01 수정 2025-07-23 02:01
더불어민주당 정청래·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지난 21일 충남 예산군 신암면 조곡리 수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나선 정청래, 박찬대 후보가 각각 ‘내란당 해체’와 ‘판사처벌법’을 꺼내들었다. 당대표 경선에서 가장 큰 비중(55%)을 차지하는 권리당원들의 표심을 노린 메시지다. 당이 지나치게 강성 당원들에게 끌려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2일 두 후보는 모두 선거운동을 전면 중단하고 수해복구 현장으로 달려갔지만 강성 지지층을 겨냥한 온라인 선거운동은 계속됐다. SNS 계정은 이른 아침부터 메시지로 도배됐다. 박 후보는 이날 오전 9시4분 페이스북을 통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된 것을 언급하며 “국민과 함께 분노한다. 판사처벌법, 꼭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언제까지 판사 몇 명의 재판봉에 대한민국이 휘둘려야 하는가”라며 “빠르고 강한 사법개혁, 타협은 없다”고 강조했다. 판사처벌법은 민주당이 발의한 형법 개정안을 의미한다. 판사나 검사가 부당하게 법을 적용하는 행위 등을 ‘법 왜곡죄’로 처벌하겠다는 취지다.

박 후보는 오전 9시30분부터 시작된 전북 남원 수해지역 현장방문 직전 이런 내용의 페이스북 메시지를 냈다. 그는 오후에도 “검찰청 폐지에 대표직을 걸겠다” “정당의 탈을 쓴 내란을 반드시 끝장내야 한다” 등의 온라인 메시지를 냈다.

정 후보의 페이스북 첫 메시지는 이날 오전 6시47분 올라왔다. 전날 발표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입장문을 비판하는 메시지였다. 역시 전남 나주 수해복구 현장방문 전 올린 것이다. 정 후보는 오후에는 페이스북에 수해복구 현장 사진도 여럿 올렸다.

정 후보는 이날 자신이 앞서 대표 발의한 ‘국민 정당해산심판청구법’(헌법재판소법 개정안)을 홍보하며 “내란당은 뿌리째 뽑아야 한다”는 글도 페이스북에 올렸다. 이 법안은 정부에만 부여된 정당해산 심판 청구권을 국회 본회의 의결을 통해서도 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두 후보가 약속한 판사 처벌이나 정당 해산 청구 요건 완화는 모두 강성 지지층의 지지를 받는 내용이다. 반면 전문가들은 삼권분립의 취지를 훼손할 수 있어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 왔다. 당권 주자들이 당심을 잡기 위해 지나치게 강경 메시지에만 집중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익명을 요구한 한 캠프 관계자는 “당원들은 선명한 메시지를 원한다”며 “당장 눈앞의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상황에서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