닷새간 이어진 극한호우로 피해가 집중된 경남 산청과 경기도 가평 지역에서 21일 실종자 수색 작업이 이틀째 이어졌다. 하지만 넓은 수색 반경에 중장비를 투입하다보니 작업 속도가 늦어지고 있으며 높게 쌓인 토사와 부유물, 바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산청에서는 이날 인력 1260명과 장비 180대가 동원돼 실종자 수색·복구 작업이 이뤄졌다.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산청 지역 인명피해는 전날과 같은 사망 10명, 실종 4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산청에서는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348.2㎜의 폭우가 내려 산사태 위험이 높았으나 인명피해 발생 후인 19일 오후 전 군민을 대상으로 긴급대피 명령 재난 문자가 발송돼 인명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가평에서도 이틀째 대규모 수색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경기북부경찰청은 기동대 200여명을 비롯해 탐지견 9마리, 드론 3대, 항공기 1대 등 가용 자산을 총동원해 실종자 4명을 찾기 위한 수색을 재개했다.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도 59명의 인력과 장비를 동원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와 소방청에 따르면 닷새간 전국에 내린 극한호우로 사망자가 18명, 실종자가 9명 발생했다. 구조·구급 작업이 진행 중이어서 인명피해 현황은 앞으로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이번 집중호우로 전국 15개 시도에서 9887가구 1만4166명이 대피했다. 도로 침수와 토사 유실, 하천시설 붕괴 등 공공시설 피해가 1999건, 건축물·농경지 침수 등 사유시설 피해가 2238건으로 파악됐다.
산청에서는 인명피해 외에 공공시설 73건, 사유시설 27건, 농작물 침수 320㏊ 등 약 552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침수 우려와 산사태 위험으로 1402가구 1817명이 대피했으며, 그 가운데 360가구 517명은 여전히 대피 중이다.
행정안전부는 이날 광주, 전북, 전남, 경남에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55억원을 추가 지원키로 했다. 앞서 행안부는 지난 17일 경기도와 충남에 25억원의 재난특교세를 지원한 바 있다. 재난특교세는 이재민 구호, 피해시설 응급복구 및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 안전조치에 주로 사용된다. 행안부는 또 예비비와 재난안전관리기금 등 즉시 동원 가능한 재원을 안내하고, 수의계약이나 계약 심사 면제 등 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하도록 요청했다. 아울러 피해 주민의 임시 거처로 주민센터, 학교 체육관 등 공유재산을 일시적으로 무상 사용하도록 허가할 수 있고 피해를 본 공유재산 임차인에게 임대료를 완화하고 임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안내했다.
지방세제 지원책으로는 호우로 멸실·파손된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세 면제, 취득세·등록면허세 면제 등이 포함됐다. 특별재난지역 주민에게는 추가적인 지방세 감면이 가능하며, 지방세 납부 기한을 최대 1년 연장하거나 부과액·체납액을 최대 1년 유예할 수 있다. 새마을금고와 협력해 대출 만기 연장, 원리금 상환 유예, 긴급자금 대출 등도 실시한다.
가평·산청=박재구 이임태 기자, 김용헌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