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우선’ 내건 참정당… 극우 포퓰리즘이 기반

입력 2025-07-22 02:08
참정당 가미야 소헤이 대표. 로이터연합뉴스

일본 참정당은 외국인 배척과 ‘일본인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극우 성향 신생 정당이다. 2020년 4월 창당 후 백신 무용론 등 음모론을 기반으로 지지 세력을 꾸준히 규합했다. 20일 치러진 참의원 선거에서 참정당은 14석을 얻어 총 15석 정당이 됐다. 세계적인 포퓰리즘 물결이 일본을 덮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나카키타 고지 일본 주오대 교수는 21일 아사히신문 인터뷰에서 참정당의 약진에 대해 “자민당에 경고를 주고 싶었던 유권자들이 제1야당 입헌민주당을 건너뛰고 참정당으로 몰린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존 집권 세력에 대한 불신이 신흥 극우 정당 지지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세계 곳곳을 뒤흔든 격동의 포퓰리즘 물결이 마침내 수십년간 안정된 민주주의 국가였던 일본에 도달했다”며 “참정당은 ‘일본 우선’ 의제를 앞세워 중국인 관광객 급증과 일본 내 외국인 부동산 매입에 대한 불안감을 자극했다”고 평가했다.

참정당은 현재 48세인 가미야 소헤이 대표가 2022년 참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돼 처음 원내에 진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백신 무용론과 국제 금융 자본이 세계 질서를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음모론으로 주목을 받았다. 참정당의 반(反)엘리트주의와 일본인 우선주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호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와 맞닿아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참정당은 외국인 수용을 반대하고 감세와 적극 재정 정책을 표방하는 등 유럽 포퓰리즘 정당과 유사한 주장을 편다. 가미야 대표는 최근 한 방송에서 “외국인은 토지를 소유해도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일본 내에서 재산을 상속받은 외국인도 상속세를 내야 한다. 그는 지난 18일 참정당 헌법 구상안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 “(비판하는 사람은) ‘촌’으로 불리며 바보 취급당한다”고 말했다가 “정정하겠다”고 했다. ‘촌’은 일본에서 재일한국인을 멸시할 때 쓰는 용어다. 참정당이 제시하는 새 일본 헌법 초안 1조에는 ‘일본은 천황(일왕)이 다스리는 군민 일체의 국가’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번 선거에선 과거 한국 혐오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햐쿠타 나오키 일본보수당 대표가 비례대표로 당선되기도 했다. 극우 포퓰리즘이 일본 정치권의 대세로 자리 잡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힘을 받지만 신흥 정당들이 약진한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나카키타 교수는 “기존 정당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부상한 신흥 정당이 배타주의에 불을 지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