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좌진 갑질’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어 우려스럽다. 대통령실이 그제 강 후보자 임명 방침을 밝혔지만 반대 여론은 점점 더 거세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21일 강 후보자를 임명하면 국회 본회의나 상임위원회에서 장관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범여권인 진보 정당들도 반대 입장이 여전하고, 진보 성향 참여연대도 이날 “임명 방침은 납득하기 어렵고 부적절하다”는 성명을 또 냈다. 대통령실이 임명 방침을 밝히면서 국민들의 이해를 구한다고 했지만 이해할 수 없다는 게 중론인 셈이다.
대통령실은 그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임명 철회 발표 때 ‘다양한 의견을 경청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강 후보자에 대해서도 그런 과정을 거쳤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 후보자가 논문 표절과 자녀 유학 문제로 낙마했지만 강 후보자는 국민 정서에 더 민감한 갑질 및 청문회장 거짓 해명 의혹으로 비판받고 있는 상황이다. 도저히 그냥 넘길 수 없는 사안이라 판단해 한 식구라 할 수 있는 더불어민주당 보좌진협의회까지 공개적으로 강 후보자 임명을 반대한 것이다.
이에 더해 강 후보자는 이날 초선 국회의원이던 2021년 당시 문재인정부 여가부에도 갑질을 했다는 의혹이 또 불거졌다. 정영애 전 여가부 장관에 따르면 강 후보자는 본인 지역구에 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를 설치해 달라고 여가부에 요구한 뒤 센터에서 일할 의사를 구할 수 없어 설치가 어렵다는 답변을 받자 ‘하라면 하는 거지 무슨 말이 많냐’고 화를 냈다고 한다. 이어 센터와 관련 없는 여가부 예산 일부를 삭감하는 바람에 의원실에 찾아가서 사과한 뒤에야 예산을 살릴 수 있었다는 것이다.
갑질 의혹이 잇따르는데도 강 후보자를 임명하는 것은 민심을 거스르는 일이다. 당장 이번 주 리얼미터 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이 5주 연속 상승하다가 처음으로 2.4% 포인트 하락한 게 장관 후보자 청문회 논란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여당 의원 기용으로 국정 과제를 보다 힘 있게 추진하겠다는 이 대통령 뜻도 있겠지만, 자칫 그랬다가 국론이 더 분열되고 여야 협치 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갑질 의혹 당사자를 고위 공직자로 임명할 경우 현 정부 국정 철학에 의문을 갖는 국민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더 늦기 전에 임명을 철회하거나 후보자가 자진사퇴하는 게 현명한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