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소련 붕괴와 함께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 첫발을 내디딘 한국인 네 가정이 있다. 기독교인이 한 명도 없던 그 땅에서 34년간 사역한 결과 현재 지역교회 113곳, 성도 5000여명의 중앙아시아 침례교 총회가 설립됐다.
그곳에서 20년 가까이 사역한 주민호 기독교한국침례회 해외선교회장은 “고려인 사역을 위해 러시아 침례교단과 협약을 맺고 들어갔지만 결국 독자적 사역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고 회고했다. 놀라운 것은 선교사들이 직접 개척한 교회는 25개에 불과하고 나머지 87개는 현지인들이 스스로 개척했다는 사실이다.
성공 비결은 ‘동반자 선교’ 철학에 있었다. 주 회장은 그곳에서 선교사들이 실제로 4P 단계(개척자→부모→동반자→참여자)를 거치며 단계적으로 사역을 현지인에게 이양한 사례를 소개했다.
이러한 현장 경험은 이제 한국 선교 전반의 전략과 정책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는 21일부터 23일까지 강원도 평창 켄싱턴호텔에서 ‘뉴 타깃(New Target) 2030과 한국 선교의 방향’을 주제로 정책 회의를 개최한다. 교단 선교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이번 회의에서는 한국 선교계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이 강조됐다.
강대흥 KWMA 사무총장은 “한국이 2만명 이상의 선교사를 파송했지만 선교 전략과 정책의 체계적 적용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선교사들이 현지 상황과 교단의 전략적 방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사역하는 경우가 많아 지속가능한 선교 생태계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선교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동반자 선교’ 7원칙을 제시하며 “현지 교회와 진정한 동반자가 되려면 현지 교단에 소속되어 그들의 요청을 받고 함께 사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일 후 북한교회 복원 문제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강 사무총장은 “주기철 목사가 사역했던 장대현교회를 북한에 재건하려는 교단이 6곳에 이른다”며 “통일 후 교단 간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해결책으로 ‘통일 이후 북한교회 회복을 위한 7대 원칙’을 제시했다. 지하교회의 선도적 역할 인정, 한국교회의 섬김 자세, 교단 간 협력 모델 마련, 교단주의 지양, 선교적 확장 기회 창출, 민족적 동질성 회복, 본질 중심의 교회 회복 등이다.
강 사무총장은 “한국식 ‘부동산 중심 교회 개척’ 모델을 북한에 그대로 적용하면 오히려 현지에 혼란을 줄 수 있다”며 “한국교회가 북한 현실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동반자 선교를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KWMA는 지난해부터 진행한 ‘뉴 타깃 선교’ 프로젝트인 디지털·이주민·다음세대 선교 등의 진행 상황도 보고했다. 이외에도 한철호 미션파트너스 대표, 손승호 울산경남세계선교협의회 사무총장 등이 한국 선교계의 현주소와 과제에 대한 주제발표를 이어갔다.
평창=글·사진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