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이 초토화될 것 같다.” “최소 20명 가까이 수사 대상에 오르는 것 아니냐.”
요즘 국민의힘 내에서는 소속 의원들을 향해 칼을 벼르는 3특검(김건희·채해병·내란)에 대한 공포감이 커지고 있다. 동료 의원과 연락이 잘 닿지 않으면 ‘특검 수사 때문인가’ 하는 걱정의 말이 오갈 정도라고 한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20일 “지금 특검 수사 상황은 극히 이례적이다. 검사 출신 의원들 사이에선 사무실뿐 아니라 집까지 압수수색 당하는 게 통상적인 일은 아니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김건희 특검이 윤상현·권성동 의원에 대해, 채해병 특검이 임종득·이철규 의원에 대해 각각 압수수색에 나선 점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 모두 친윤(친윤석열)계 실세로 분류됐던 인물들이다. 당 관계자는 “윤석열정부의 실세 그룹들이 모두 수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며 “김건희 특검 수사에서 나온 녹취와 문자들만 해도 1년 내내 파도 모자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 검사 출신 국민의힘 의원은 “참고인 신분인데도 압수수색을 강행하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정치 특검’이라고 반발하고 있지만 대응 방안은 뾰족하지 않다. 야당 의원들은 특검의 강제수사가 이뤄질 때마다 의원실 앞에 집결해 단체 행동을 벌이고 있지만, ‘단일대오’는 이미 흐트러졌다는 평가다. 실제 지난 18일 특검 압수수색을 받은 권 의원 사무실 앞에는 국민의힘 의원 20여명만 모여들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당 차원에서 조직적인 법률, 메시지 지원은 해줘야 한다고 보지만 특검 대응에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전당대회를 앞둔 상황에서 ‘반탄’(탄핵 반대) 주자들이 ‘윤희숙 혁신위’를 흔들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혁신을 뒤로 한 채 특검 수사 방어에만 나선다는 여당의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특검 특성상 어떻게든 수사 성과를 내려고 하는 데 국민의힘은 지지율이 낮아 특검으로선 거칠 것이 없는 상황”이라고 자평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