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윤리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학자 그룹인 범학계국민검증단(검증단)이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해명을 반박하고 나섰다. 중복 게재와 제자 논문 표절 의심을 받는 논문들을 정밀 분석해 “복제물 수준”이란 결과를 내놨다. 검증단은 국제 학술기구 등과 연대해 이 후보자의 연구윤리 위반을 추궁하겠다고 예고했다.
검증단은 20일 “이 후보자의 주요 논문에 대해 1대1 원문 대조 방식으로 수작업 정밀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복붙’(복사-붙여넣기) 수준의 심각한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2차 조사 결과다. 앞서 검증단은 지난 14일 1차 검증 결과를 공개하며 “이 후보자의 논문 16편에서 제자 논문 가로채기, 표절 등 연구윤리상 문제가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검증단이 2차 조사에서 집중 분석한 논문은 3편이다. 이 후보자가 2018년 2월 학술지에 게재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 같은 해 3월 다른 학술지에 게재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다. 두 논문은 실험 설계와 결과 등이 같아 제목만 바꾼 논문을 별도 학술지에 발표하는 이른바 ‘논문 쪼개기’ 의혹을 받고 있다.
또한 이 후보자의 두 논문은 이 후보자의 제자가 같은 해 4월 발표한 박사학위 논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를 표절했다는 의심도 받고 있다.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인사청문회를 통해 이를 전면 부인했다. 이 후보자는 “이공계열 상황을 이해하지 못해 나온 결론”이라며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검증단은 이날 “학위 논문이든 학술 논문이든 이 정도의 구조·문장·실험 일치가 확인됐다면 학계에선 표절로 간주돼 심사 단계에서 탈락하거나 논문 취소 조치를 받게 된다”고 재반박했다.
연구윤리심의(IRB) 등이 논문에 누락된 점도 언급했다. 제자 신체를 활용해 논문 데이터를 얻고도 관련 절차를 준수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검증단은 “국제 학술기구와의 연대를 포함해 모든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협의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도 이 후보자가 교육부 장관에 부적합하다는 의견을 냈다. 정 교육감은 페이스북에 “많은 분들께서 제게 실망과 우려의 말씀을 전했다”고 적었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