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성범죄자 제프리 엡스타인에게 과거 발송된 외설적 편지의 작성자를 자신으로 지목한 월스트리트저널(WSJ)을 상대로 거액의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나는 법무부에 엡스타인과 관련된 모든 대배심 증언을 법원 승인을 조건으로 공개하도록 요청했다”며 “법원 결정이 급진 좌파 광신자들에겐 결코 만족스러울 수 없을 것”이라고 적었다. 자신의 엡스타인 연루 의혹을 ‘사기극’이라며 부인해 왔지만 강성 지지층인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 내부에서 반발이 확산되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트럼프는 또 WSJ에 대해 “역겹고 더러운 신문”이라며 모기업인 뉴스코퍼레이션 창립자 루퍼트 머독 등을 상대로 100억 달러(약 14조원) 규모의 명예훼손 소송도 걸었다. 앞서 WSJ는 지난 17 일 트럼프가 2003년 엡스타인의 50세 생일을 축하하며 알몸 여성 그림을 담은 편지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는 “나는 평생 그림을 그린 적이 없다. 여성 그림은 그리지 않는다”며 보도 내용을 전면 부인했다. 머독은 트럼프가 애청하는 보수 성향 방송사인 폭스뉴스의 대주주이기도 하다. 이번 소송은 트럼프와 보수 언론 간 갈등으로 확산할 수 있다.
트럼프는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인 엡스타인과 뉴욕 사교계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2000년 초반까지 친분을 쌓았다. 하지만 2004년 무렵 부동산 매입 경쟁 등으로 불화를 겪은 뒤 소원해졌다고 미국 언론들은 전했다. 엡스타인은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트럼프 1기 때인 2019년 수감 도중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당시 트럼프는 “엡스타인과의 사이는 오래전에 틀어졌다. 15년 동안 대화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트럼프는 집권 2기에서 엡스타인 사건의 부메랑을 맞고 있다. 지난 5월까지 미국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지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역시 엡스타인을 무기 삼아 트럼프를 공격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가 마가의 새로운 표적이 됐다”고 진단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