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부터 쏟아진 ‘극한 호우’가 전국 곳곳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물러갔다. 수십명의 인명 피해를 냈고, 1만여명의 이재민을 발생시켰다.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의 고통과 슬픔은 이루 말할 수 없다. 농경지 침수와 도로 유실 등 헤아릴 수 없는 재산 피해도 속출했다. 이제는 공동체의 힘으로 피해를 신속히 복구하고, 이재민의 아픔을 함께 나누어야 한다. 또한 반복되는 자연재해 속에서 우리는 과연 충분히 준비되어 있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이겨낼 것인지도 스스로에게 묻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
피해 현장은 그야말로 참혹하다. 주택과 상가는 진흙더미에 잠겼고, 삶의 흔적들은 물살에 휩쓸려 사라진 상황이다. 가장 피해가 컸던 지역은 경남 산청군이다. 나흘 동안 산청군 시천면에 누적 강수량 798㎜를 기록하는 등 산청군 일대에 632㎜의 호우가 퍼부었다. 1년 치 강수량 절반 가까이가 쏟아진 셈이다. 사망·실종자 등 인명 피해도 가장 많았다. 특히 산청군은 지난 3월 대형 산불로 큰 피해가 발생했던 곳이라 더욱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산불에 이어 4개월 만에 폭우까지 산청군을 뒤덮은 것이다.
이번 폭우로 도로 침수와 토사 유실, 하천 둑 붕괴 등 공공시설 피해는 1920여건, 건축물·농경지 침수 등 사유시설 피해는 2200여건으로 파악됐다. 이재민도 14개 시도, 90개 시군구에서 9700여세대, 1만3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비극 앞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신속하고 체계적인 복구 작업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하여 도로, 교량 등 기반 시설을 조속히 복구해야 한다. 또한 이재민들이 하루빨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임시 거주시설 제공은 물론, 심리 지원에도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필요하다면 특별재난지역을 빠르게 선포해 폭넓은 지원과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번 극한 호우는 또한 우리 사회의 취약한 방재 시스템을 여실히 드러냈다. 온난화 등 예측 불가능한 이상 기후 현상이 빈번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과거의 경험에 안주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되짚어봐야 한다. 피해 복구와 대책은 단순히 무너진 것을 다시 세우는 것을 넘어,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