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에서 열린 ‘2025 국민공공정책포럼’에서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전환기를 맞아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서 AI의 다양한 역할을 조명했다. AI가 일하는 방식에서부터 산업 전반의 혁신을 불러올 것이며, 결국 AI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국가 미래를 좌우하게 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동진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지금은 기술패권 시대”라며 “AI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이 경제 성장의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은 “AI는 모든 산업의 혁신 동력”이라며 AI와 관련한 휴머노이드 로봇 등 신산업들이 기존 산업을 재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은 “이제는 사람의 질문에 답하는 ‘생성형 AI’를 넘어 행동으로 현실화하는 ‘에이전틱(Agentic) AI’ 시대에 접어들었다”며 산업 현장에서 AI가 가져온 다양한 변화를 소개했다.
박희준 연세대 산업공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 패널들은 한국의 ‘AI 3대 강국’ 진입 방안도 논의했다. 장 원장은 “전통적인 제조업과 AI 문화는 많이 다르다. 지금까지의 성공 경험을 빨리 깨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부문장은 “수출로 성공해온 우리나라는 산업 현장에서 우리만의 AI 솔루션으로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