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비판 여론이 고조되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거취를 이번 주말쯤 결정할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대통령실 내부에선 두 후보의 임명 강행 여부를 두고 산발적으로 이견이 터져 나왔지만, 이번 주 인사청문 정국이 마무리되면 종합평가를 한 뒤 결정을 내리는 쪽으로 뜻을 모았다.
특히 강 후보자에 대해선 전날 자진사퇴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왔으나 밤사이 사퇴 여부를 ‘제로 베이스’에서 재검토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실은 아직 다른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진행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청문회가 다 마무리되는 18일 이후 전체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고할 계획”이라며 “이 대통령이 다양한 통로로 여론을 청취하고 있고, 청문회 과정에서 나온 여러 쟁점에 대해 일일 보고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통령실이 특히 강 후보자에 대해 고민이 깊은 것은 대략 네 가지 이유다. 우선 현역의원의 첫 낙마 사례가 발생하면 5년간 후속 인사에서 낙마 릴레이가 이어질 수 있다. 유일한 ‘믿을 곳’이 무너지면 정부로선 인사검증 부담이 몇 배로 뛰게 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강 후보자가 법을 어긴 것도 아닌데 낙마한다면 앞으로 비슷한 논란이 제기된 후보자에게 같은 잣대를 요구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강 후보자가 친명(친이재명)계 내 드문 여성 전문 인력이라는 점도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미국 대학교수 출신인 강 후보자는 인간발달학·가족학 박사여서 정권 초부터 여가부 장관으로 점찍혔다. 이 대통령 후보 시절 세계적 석학 마이클 샌델 교수, 저명한 역사가 유발 하라리 작가와의 대담을 주선하기도 했다. 이재명정부 초대 내각의 여성 장관 비율이 목표에 못 미치는 상황도 고려 대상이다.
여당에서는 이 대통령이 지난해 전당대회 최고위원에서 낙선한 강 후보자에게 부채의식이 있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친명 조직이 당선권에 있던 정봉주 전 의원을 탈락시키기 위해 다른 후보에게 전략적 몰표를 던졌고,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약했던 강 후보자가 희생양이 됐다는 것이다. 친명계 관계자는 “전당대회가 예상과 다르게 전개되면서 강 후보자를 돕지 못했다”면서 “이 대통령도 강 후보자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갑질 이미지’ 탓에 3년 뒤 총선에서 심대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갖고 있다. 대통령실의 인사로 인해 재선 의원의 정치적 생명이 위협받을 상황에 이른 것이다. 민주당은 두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이 대통령에게 일임하며 구체적인 입장 발표를 자제하려는 모양새다.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소속 한 여당 의원은 “보좌진협의회의 반발 등 여론을 민감하게 보고 전달하고 있다”면서도 “결국 대통령실에서 감수하고 강행할 것이냐 결단의 문제”라고 말했다.
최승욱 김판 송경모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