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기업 경영에 있어서 치명적인 잘못은 문제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외면하거나, 문제를 문제라고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실패와 같다”고 말했다. 계열사 사장단과 주요 임원이 모인 ‘2025년 하반기 VCM(Value Creation Meeting)’에서다.
신 회장은 17일 경기도 오산 롯데인재개발원에서 전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열린 VCM에서 부진이 깊은 화학군에 대해 “신속하게 사업 체질을 개선하라”고 지시했다. 글로벌 석유화학 업황 침체 여파로 롯데케미칼은 6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무거운 분위기에서 진행된 이번 VCM에서는 상반기 그룹 실적을 냉정하게 평가한 뒤 주요 경영지표 개선을 위해 해야 할 일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은 “식품군에서는 핵심 제품의 브랜드를 강화하고, 유통군은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방안을 고민하라”고 주문했다. 사업군별 전략을 속도감 있게 실행해 브랜드 가치와 생산성을 높이라고도 지시했다.
롯데그룹이 VCM을 1박 2일간 진행한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하반기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 후 중장기 생존 전략을 다지는 자리가 됐다. 신 회장을 비롯해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이사와 각 사업군 총괄대표, 주요 계열사 CEO 등 약 80여명이 참석했다.
회의는 상반기 실적 점검과 하반기 운영 방침 공유로 시작됐다. ‘브랜드, 소비자를 움직이는 힘’을 주제로 한 외부 강연과 함께 식품·유통·화학 등 사업군 총괄대표들이 각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실행 계획을 발표했다. 롯데미래전략연구소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 방안을, 롯데벤처스는 스타트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제시하며 인공지능(AI) 등 신성장 발굴에 방점을 찍었다. 사장단은 산업 전반의 변화 흐름과 영향을 공유하는 등 기존 성공공식에서 벗어나 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새로운 전략 방향을 모색하는 데 집중했다.
신 회장은 “최고경영자(CEO)는 5년, 10년 뒤의 경영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현재와 3년 뒤에 해야 할 일을 계획해야 한다”며 “모든 CEO가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업무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기업의 외부 환경을 정치적(Political), 경제적(Economic), 사회적(Social), 기술적(Technological) 요소 중심으로 분석하는 ‘PEST(페스트) 관점 경영’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인재와 기술 준비도 요청했다.
이다연 기자 id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