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국부(국민 순자산)가 2경4100조원을 돌파했다.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5250만원을 넘겼다. 서학 개미들이 해외 증시에서 적지 않은 수익을 내고 수도권 쏠림에 따라 집값이 상승한 덕분이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4년 국민 대차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민 순자산은 2경4105조원으로 전년 대비 1217조원(5.3%) 증가했다. 국민 대차대조표는 가계(비영리 단체 포함)와 정부, 일반 기업, 금융사가 가진 유·무형의 금융·비금융자산이 얼마나 늘고 줄었는지를 연 단위로 기록한 표다. 지난해 국민 순자산 증가 폭은 2021년(3029조원) 이후 3년 만에 최고치이자 2023년(294조원)의 약 4배 수준이다.
국민 순자산 중 가계 순자산은 절반을 넘는 1경3068조원이다. 이를 인구수(5175만명)로 나눈 국민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5251만원이다. 전년 대비 801만원(3.3%) 증가했다. 이 지표는 부동산과 주식, 예·적금 등 국민 1인이 보유한 전체 자산에서 빚을 뺀 금액이다. 2022년, 2023년에는 일본을 앞지른 바 있다. 한국은 1인당 국민총소득(GNI)도 2023년부터 2년 연속 일본보다 높았다.
국민 순자산 증가에는 금융 자산이 크게 기여했다. 순금융자산은 582조원 늘었고, 증가율은 56%에 달한다. 해외 주식시장의 호조로 기존 보유 주식의 평가이익은 456조원이며, 신규 매수 주식의 수익도 117조원에 달했다. 한은 관계자는 “서학개미 등 국내 거주자의 해외 주식 투자 증가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의 연간 23%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모든 경제 주체의 주택과 비주거용 건물, 토지를 합한 부동산 자산은 1경7165조원으로 1년 새 431조원(2.6%) 증가했다. 전체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6.3%로 전년 말(76.6%) 대비 소폭 하락했다.
이 중 주택만 뽑아 보면 시가총액은 7158조원이다. 집값이 내리막길을 걸었던 직전 2개년 동안에는 각각 4%, 1.2% 감소했는데 최근 부동산 시장이 뜨거워진 여파로 지난해에는 4.2% 증가 전환했다. 수도권과 지방 간 뚜렷한 양극화를 증명하기라도 하듯 증가율의 대부분은 수도권(3.8% 포인트)이 차지했다. 기여율이 90.6%에 이른다. 시총을 시도별로 보면 서울(2498조원·34.9%), 경기(2075조원·29%), 부산(390조원·5.4%) 순이다.
김진욱 이의재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