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사진)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저성장 국면을 타개할 핵심 경제 정책 수단으로 인공지능(AI)을 제시했다. 현 정부의 ‘진짜 성장론’을 입안한 그는 “인위적으로 경기 부양을 하는 가짜 성장이 너무 많았다”며 한국의 강점을 활용하면 AI 생태계도 금세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17일 국민일보 ‘2025 국민공공정책포럼’에서 ‘대한민국 진짜 성장을 위한 전략’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서 ‘진짜 성장을 위한 3대 전략’으로 기술주도 성장, 모두의 성장, 공정한 성장을 제시했다. 그는 “선도적이고 창조적인 기술 주도 성장과 국토 전 영역에서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모두의 성장, 그리고 성장의 기회를 두루 보장하는 공정 성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술주도 성장의 측면에선 무엇보다 AI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AI 시장을 단순히 개척하는 것이 아니라 선점해야 한다”며 “미국과 중국이 파운데이션 모델(광범위한 데이터로 훈련된 범용 AI 모델)에서 앞서 있지만 이를 응용하는 데 그치지 말고 직접 개발해 선도적으로 경쟁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말했다.
AI 자체에 대한 투자는 물론 기존 산업에 AI를 융합하려는 시도 역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AI는 그 자체가 산업이지만 다른 산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올려주는 효과가 있다”며 “한국이 전통적으로 강한 제조업과 AI를 결합하면 획기적인 성공을 이루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AI 생태계 구축에 한국만의 강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한국은 국토가 밀집해 있는데, 인프라나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데에는 장점이 될 것”이라며 “국제적으로도 미국, 중국과 달리 중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AI 기술이 해외로 진출할 때도 유리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선 규제 개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교수는 “인프라 구축과 관련 연구개발(R&D) 지원 측면에서 정부가 나서야 한다”며 “단순한 지원 확대를 넘어 자유롭고 창의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규제와 제도 개혁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