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과 수출 중심의 한국식 ‘성공 방정식’이 한계에 이르면서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돌파구로 부상하고 있다. 저성장과 생산성 위축, 저출생·고령화 고착화의 과제를 안고 있는 정부도 AI를 성장 동력으로 지목하고 있다. 정부가 지향하는 ‘진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선 AI의 핵심 자원인 전력, 인재, 규제 혁신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일보는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컨벤션홀에서 ‘AI,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을 주제로 ‘2025 국민공공정책포럼’을 개최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박희준 연세대 산업공학과 교수, 이동진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 등이 참석해 AI 시대의 성장 과제를 제시했다.
김 총리는 축사에서 위기 극복을 위한 ‘핵심 중의 핵심’으로 AI를 꼽았다. 김 총리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대선 기간 앞으로의 먹거리로 ABCD(AI, 바이오, 콘텐츠 앤드 컬처, 디펜스) 개념을 제시했는데, 그중 AI는 일종의 지배적인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AI를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삼는 데 필요한 요소로 전력망 확충을 포함한 에너지 인프라와 인재, 규제의 적정화 및 합리화를 언급했다.
기조강연에 나선 이 위원장은 고착화된 저성장과 경제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진짜 성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 해법으로는 AI를 비롯한 첨단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제시했다. 이 위원장은 “AI 하나를 놓고 전 지구가 동시에 싸우고 있다”며 “AI 패권 경쟁이 이미 시작됐으니 이겨야 한다.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면 대안은 없다”고 단언했다.
신준섭 이누리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