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자축구가 20년 만에 동아시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함께 뛴 베테랑들과 신예들 모두 대표팀에서 처음 들어 올린 트로피다. 신상우호는 출범 9개월 만에 세대교체 가능성을 확인했다.
신 감독이 이끄는 여자축구 대표팀은 지난 16일 경기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최종전에서 대만을 2대 0으로 이기고 우승을 거머쥐었다. 2무 1승인 한국과 1승 2무인 중국, 일본의 승점이 같았는데 다득점에서 순위가 갈렸다. 2005년 초대 대회 우승 이후 20년 만에 정상 등극이다.
‘리빙 레전드’ 지소연(34·시애틀)도 대표팀 20년 차에 처음 경험한 우승이다. 세계 무대에서 뛰며 수많은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지만 대표팀에서는 달랐다. 2006년부터 A매치 169경기를 뛰는 동안 우승은 없었다. 지소연은 경기 후 “홈에서 이렇게 우승하려고 지금까지 버텼던 것 같다”며 감격스러워 했다.
다른 선수들 역시 A대표팀 우승이 처음이다 보니 세리머니조차 어색한 모습이었다. 대회 최우수선수상(MVP)에 선정된 장슬기(31·경주)는 “우승 경험이 없어서인지 선수들이 세리머니도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더라”며 “마음이 아프면서도 이걸 경험 삼아 앞으로 더 좋은 성적을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번 대표팀은 베테랑과 신예들의 조합으로 꾸려졌다. 지소연 장슬기 김혜리(35·우한) 이금민(31·버밍엄시티) 등 고참 들이 중심을 잡고, 정다빈(20·고려대) 케이시 유진 페어(18·에인절시티) 김민지(22·서울시청) 전유경(21·몰데) 등 젊은 피들이 활력을 채웠다. 전체 선수 25명 중 2000년대생이 14명에 달한다.
대회 5골 중 4골은 베테랑 지소연과 장슬기가 만들어냈다. 나머지 한 골은 첫 성인 대표팀 발탁인 정다빈의 발끝에서 나왔다. 지난 13일 패색이 짙던 한일전 종료 직전에 나온 동점골이라 의미가 더 크다. 함께 데뷔전을 치른 김민지도 중국전에서 교체 투입돼 도움을 기록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보였다.
신 감독은 지난해 10월 지휘봉을 잡은 뒤 세대교체에 공을 들여왔다. 부임 이후 첫 공식 대회 우승을 거둔 그는 “고참 선수들의 간절함이 소집 때부터 느껴졌고 그런 간절함을 어린 선수들이 잘 따라줬다”며 “아직 완성은 아니지만 이 우승으로 신구조화가 한 방향으로 갈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