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자녀 불법 조기유학 사실을 시인하고 사과했다. 당시 불법인지 몰랐고 두 딸이 미국 유학을 원했다며 선처를 구했다. 연구윤리 위반 의혹엔 적극 해명하면서 야당과 충돌했다. 특히 이 후보자가 두 판박이 논문을 다른 학회지들에 실은 ‘논문 쪼개기’ 의혹을 추궁하는 야당 의원에게 이 후보자가 반박하고 여당 의원들이 두둔하면서 파행을 빚기도 했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16일 진행한 이 후보자 청문회에서 야당은 이 후보자 자녀의 불법 조기유학 문제를 집중 부각했다. 이 후보자의 두 딸은 중·고교 시절 미국에 유학한 뒤 미국 대학에 진학했다. 특히 둘째딸은 의무교육 단계인 중학교를 끝내지 않고 부모 없이 유학을 떠나 초중등교육법을 위반했다.
이 후보자는 “2001년부터 1년간 방문연구원으로 미국에 체류한 것을 계기로 아이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길 강력 희망했다”며 “둘째딸은 언니 따라 간 건데 (중학교 시기 부모 미동반 유학이) 불법인지 알지 못했다. 큰 실수”라며 고개를 숙였다.
야당 의원들은 두 딸이 미국에서 입시를 치러 국내 학생과 학부모의 고충을 이해하지 못한다며 부적격 인사라고 주장했다.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자기 자녀는 공교육을 탈출시켜 (일반 학부모들에게) 상실감을 줬다. (유학 문제를) 넘어갈 만한 압도적 전문성과 감동도 없다”고 질타했다.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은 “이 후보자 자녀 학교는 학비가 연 1억원 정도로 미국서도 최상류층이 다니는 곳”이라며 “일반 학생·학부모의 고충을 (이 후보자가) 이해하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자녀 불법 조기유학은 초·중등 교육 전문성 부족 문제로도 확장됐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초·중등학교 법정 수업일수는 며칠이냐”고 물었고, 이 후보자는 답하지 못했다. 이어 정 의원이 “전국 1만여 학교에서 교육 행정정보를 연계해 처리하는 시스템은 뭐냐”고 묻자 답하지 못하다가 정 의원이 “나이스(NEIS)요”라고 하자 한 박자 늦게 “나이스입니다. 나이스”라고 했다.
이 후보자는 연구윤리 위반 의혹에는 적극 반박했다.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이공계의 연구 특수성을 이해하지 못한 오해”란 입장을 반복했다. 2018년 발표한 두 판박이 논문이 서로 다른 학회지에 실렸다는 중복 게재 의혹에는 “같은 시기에 같은 실험 조건으로 연구가 이뤄졌지만 별개 논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하나의 실험 결과를 쪼개 논문 두 개로 만든 부당한 중복 게재라고 재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김 의원이 발언 시간을 초과하자 여당 의원들이 항의했다. 양측 감정이 격해지자 김용호 교육위원장이 정회를 선포했다.
야당은 김건희 여사 논문 표절을 규명했던 연구자 그룹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의혹 제기를 이어갔다. 검증단은 전날 이 후보자가 제자 논문들을 표절했고, 논문을 중복 게재했다는 검증 결과를 발표하며 후보자 사퇴를 촉구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 황민혁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