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 부담?… 10억 넘는 아파트 계약 취소 늘었다

입력 2025-07-17 00:17
집토스 제공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10억원 초과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이 8% 포인트 이상 급증했다. 대출로 매매에 나선 계약자들이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이후 ‘상투 잡았다’는 심리적 부담을 느껴 계약 취소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집값이 조정될 것이라는 메시지가 통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중개플랫폼 집토스는 올해 1월 1일부터 6월 27일까지 매매된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 계약 해제 현황을 분석한 결과, 6·27 대책 이후(6월 27일~7월 15일) 해제된 계약 중 10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이 35.0%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대책 발표 전(1월 1일~6월 26일)과 비교하면 8.1%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5억원 이하 아파트의 계약 취소 비중은 32.2%에서 25.1%로,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는 40.9%에서 40.0%로 줄었다.

이번 대책에 대한 충격이 10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시장에서 더 강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집토스 관계자는 “투자 금액이 큰 고가 아파트일수록 가격 하락 시 손실 규모가 크다. 매수자들이 ‘상투를 잡았다’는 심리적 부담을 느낄 수 있는 상황”이라며 “계약금 포기까지 감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서초구의 계약 해제 비중이 눈에 띄게 늘었다. 6·27 대출 규제 이전에 서울 전체 계약 해제 중 서초구의 비중은 2.5%였으나, 규제 후 5.7%로 3.2% 포인트 늘었다. 강남구도 같은 기간 1.4% 포인트 증가(5.1→6.5%)했다.

서울 일부 외곽지역들에서도 계약 해제 비중이 늘었다. 노원은 5.3%에서 7.3%로 증가했고, 도봉(1.4→1.9%)과 강북(1.3→1.9%)도 비중을 확대했다. 자기 자본이 부족한 매수자들이 향후 집값 하락과 이자 부담 공포감으로 서둘러 계약을 해제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대책은 ‘집값이 조정될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던진 셈”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에게는 자산 방어심리를, 영끌 매수자에게는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하며 계약 취소라는 같은 행동으로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