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국무위원 후보자 중 부정적인 여론이 가장 많은 사람들이다. 여권 성향 주요 단체들도 두 사람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과 자녀의 불법 유학을 문제 삼았고, 한국여성단체연합은 강 후보자의 보좌관 갑질 논란을 이유로 들었다. 두 사람은 청문회에서 해명하고 사과도 했지만 여론을 바꿔놓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들의 해명은 또 다른 논란을 부르면서 여론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표절 논란은 학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며 “내가 (논문 표절 검사 서비스인 카피킬러를) 돌려보니 10%를 겨우 넘는 표절률이 나왔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률이 카피킬러 기준으로 25~40%라는 주장에 대한 반박이었는데, 이는 본질에서 벗어난 말이다. 출처를 밝히지 않은 문장이 10%건 40%건 다른 사람의 학문적 성과를 도둑질한 건 매한가지다. 이 후보자의 해명은 ‘10% 정도의 표절은 학계에서 용인된다’는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비판 여론을 희석시키기 위해 학계 전체를 매도하는 우를 범했다.
강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거짓 해명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강 후보자는 자신이 보좌관에게 음식 쓰레기를 처리하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지만, 청문회가 끝나기도 전에 강 후보자가 지시한 텔레그램 대화 내용이 방송에 나왔다. 민주당보좌진협의회 역대 회장단조차 그에게 사퇴를 요구하는 성명을 낸 것은 강 후보자의 해명과 사과가 전혀 먹히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오광수 전 민정수석이 차명 부동산 보유 논란 등으로 임명 닷새 만에 물러났지만, 이 대통령의 지지율에는 아무런 타격을 주지 않았다. 인사 검증 실패 논란이 제기됐지만, 새 정부가 국민 눈높이에 맞춰 신속하게 인사를 보완하려는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여론이 있었기 때문이다. 여권은 이 후보자와 강 후보자에 대해서도 같은 잣대를 적용하기 바란다. 국정과 인사에서도 실수와 실패가 있을 수 있다. 중요한 건 그걸 바로잡는 용기와 타이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