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배우자와 장남 등의 태양광 발전사업과 관련해 “생존형·생계형 호구지책으로 태양광 발전시설을 매입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농지 취득을 위한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맞는다”며 “불찰이었던 것 같다”고 인정했다. 정 후보자는 남북대화 물꼬를 트기 위해 한·미 연합군사훈련 연기를 검토해볼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정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가족의 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해 “5년 전 제가 선거에서 실패한 뒤 낙향했을 때 제 수입원은 국민연금밖에 없었다”며 “고정적 생활비 마련을 위해 태양광에 투자했다”고 말했다. 그는 “태양광 발전시설 소유가 지난 정부에서 악마화됐지만 (태양광 사업은) 노후 준비가 제대로 안 된 직장인에겐 안정적 수입원으로 적극 장려해야 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배우자는 태양광 업체를 보유하고 있고, 아들 2명도 최소 4곳의 업체를 보유하고 있다”며 “그런데도 지난 3월 국회의원으로서 태양광 설비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는 내용의 특별법을 발의했다”고 꼬집었다.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정 후보자는 “(해당 법안은) 절대농지로 농사만 지을 수 있게 돼 있는 땅 위에 태양광 설비를 올려서 농가 소득을 증대시켜 농촌 소멸을 막기 위한 것”이라며 “반드시 통과돼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또 법안의 대상인 ‘영농형 태양광’과 가족의 일반 태양광 사업은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정 후보자 부부가 2021년 1월 전북 순창군 농지를 매매할 때 매도자와 같은 주소지로 이전하는 등 위장전입으로 농지를 취득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정 후보자는 한 달 뒤 홀로 전북 전주로 주소지를 옮겼다. 정 후보자는 위장전입을 인정하며 “그분은 동네 이장님이다. 주민등록을 한 것은 잘못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은 농촌 소멸 때문에 귀향·귀농·귀촌을 적극 지원한다. 마을 주민들도 환영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2018년 한반도의 봄을 열 때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7년 말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훈련 연기를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남북대화) 물꼬를 텄던 것에 중요한 함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 내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남북대화를 위한 한·미 연합군사훈련 연기 가능성을 시사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우리의 주적이라는 의견에 동의하느냐”는 김 의원 질의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북한은 주적이 아니고 우리의 적도 아닌 것이냐”는 질문에는 “위협”이라고 답했다. 통일부 명칭 변경과 관련해서는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며 “한반도부가 대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잠재적 남북 교류협력 분야로 인공지능(AI) 등을 거론하며 “북에서 ‘챗GPT 북한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