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해병 특검이 채해병 순직사건 외압의혹의 발단이 된 ‘VIP 격노설’이 나왔던 당시 회의에 참석한 이충면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을 14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특검은 윤석열정부 외교안보라인 핵심인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의 VIP 격노설 목격 진술을 확보한 것을 기점으로 관련자 줄소환을 예고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김 전 1차장의 진술을 토대로 당시 회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이뤄진 보고가 어떻게 진행됐는지와 윤 전 대통령의 반응 및 지시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전 비서관은 VIP 격노설이 불거진 2023년 7월 31일 윤 전 대통령 주재로 열린 외교안보 수석비서관회의 참석자다. 특검은 또 다른 참석자인 왕윤종 전 국가안보실 경제안보비서관도 이번 주 내로 조사할 계획이다.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 임종득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현 국민의힘 의원) 등도 특검의 소환조사 리스트에 올라 있는 상황이다.
특검이 당시 수석비서관회의 정밀 복원에 나선 것은 이때 나온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이후 채해병 사망 관련 군 초동조사 기록 회수 및 경찰 이첩보류가 결정된 것으로 의심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간 격노설을 부인했던 김 전 차장이 최근 특검 조사에서 기존 입장을 뒤집으면서 수사는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검은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의 반응과 별도로 사건 이첩보류 등 구체적인 지시사항이 있었는지 등을 추후 조사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검은 지난 10~11일 윤 전 대통령 자택을 포함한 대대적인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한 자료도 분석 중이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최근까지 사용하던 아이폰 기종 휴대전화도 확보했지만, 윤 전 대통령이 비밀번호 제공에 협조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폰은 보안수준이 높아 비밀번호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면 사실상 디지털 포렌식 작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서현 기자 hy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