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로 문을 닫는 청년 사업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청년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실업률이 높아지는데 이어, 창업해도 버티기 힘든 상황에 내몰리고 있어 우려스럽다.
올해 1분기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는 월평균 35만4672명으로 1년 전보다 2만6247명이 줄었다.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7년 9월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코로나19 이후 고금리 여파로 폐업자가 급증한 2023년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다. 자영업자들이 모두 힘들지만 특히 경영 노하우와 자본력이 취약한 청년층의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 청년 사업자 감소는 특히 소매업에서 두드러진다. 기술 기반 없이 사회에 첫발을 내디딘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진입이 쉬운 음식점 카페 등에 몰리지만, 이 분야는 이미 포화 상태이거나 수요가 정체돼 있다.
이 같은 청년 사업자 감소는 청년 고용 부진과 맞물려 이중고를 낳고 있다. 청년(15~29세) 취업자는 2022년 11월부터 31개월째 감소세다. 실업률은 올해 초부터 7% 안팎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취업의 대안으로 창업을 선택하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은 것이다. 청년들이 취업과 창업에서 모두 어려움을 겪는 현실은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미래 세대의 활력이 꺼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 등 청년 창업이 활성화되도록 실질적이고 과감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 창업 자금의 대출 지원 한도 확대, 사무공간과 장비 지원, 전문가 멘토링, 법률·회계 지원, 세제 혜택 등 창업 전후 단계에 걸쳐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창업 이후에는 공공기관 우선 구매나 온라인 판로 개척 등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재명정부는 청년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대통령실 청년담당관을 신설하기로 했다. 자리 하나를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청년 일자리와 창업 지원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