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미 특사단 잡음 없애고 한·미 협력 속도 내야

입력 2025-07-15 01:20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대통령실은 13일 유럽연합(EU), 프랑스, 영국, 인도 특사단 명단을 발표했고 EU 특사단은 어제 출국했다. 대통령실은 주요국과의 협력 관계를 정상화하려는 차원에서 14개국에 특사를 파견키로 했다. 그런데 가장 중요한 미국 특사단의 경우 여권 내 반대 여론 등으로 일정 추진이 난항을 겪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시한이 3주도 안 남은 시점에서 새정부 정상외교의 시작을 알리는 특사단 파견조차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는 건 심각한 문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미 특사단에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이언주·김우영 의원을 내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민주당 내에서 김 전 위원장 비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다. 개인 이력에 대한 거부감에 더해 과거 트럼프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비난한 그의 글이 알려지며 반대 여론이 확산됐다. 일부 매체에선 ‘김종인 특사 원점 재검토’ 기사를 내보내기도 했다. 파장이 커지자 대통령실은 “반대 의견이 있지만 방미 특사단 명단에 변동이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지금의 한·미 관계에선 사소한 논란에 시간을 소모해선 안 된다.

현 정부가 당면 현안들을 나름 순조롭게 처리하는 것과 달리 유독 한·미 관계는 진전이 더디다. 전례보다 늦은 당선 사흘 째에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20분간 통화한 이후 정상 간 접촉이나 메시지 교환은 없었다. 국제 무대에서 조우할 기회를 놓쳤고 국가안보실장이 방미했음에도 아직까지 정상회담 일정조차 잡지 못했다. 탄핵 후 대선이라는 비슷한 환경에 놓였던 문재인정부가 대통령 취임 일주일 만에 대미 특사를 파견해 상호 공감대를 넓힌 것과도 대비된다.

미국은 8월 1일부터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1년에 100억 달러를 방위비 분담금으로 내라”며 동맹에 대한 배려 없이 안보면에서도 압박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분단국가이면서 주요 20개국(G20) 중 상품 수출 의존도가 가장 높은 한국에 한·미 협력은 단순한 외교 관계 이상이다. 대미 협상 성적표는 대통령의 외치는 물론 내치에도 영향을 미친다. 잡음 없는 대미 특사단을 속히 꾸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