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학교를 떠났던 의대생들이 1년5개월 만에 복귀를 선언했다. 의대생과 정치권은 정부에 수업 복귀를 위한 대책을 주문했다. 사실상 학사 유연화나 별도 교육과정을 요구한 것이어서 조기 복귀한 의대생과의 형평성 논란 등 진통이 예상된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국회 교육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발표한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에서 수업 복귀를 공식화했다.
의대협은 “지난 정부 때 잃어버린 신뢰 관계를 (현재 여권 등과) 장기간 대화하며 회복해 왔다”며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해 의대생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복귀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의대협은 “여러 단위(지부 등)들의 협조가 선행돼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날짜를 말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과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의협회장 등은 정부에 “의대생들이 교육에 복귀할 수 있도록 종합 대책을 마련해 달라”며 “전 정부의 무리한 정책으로 초래된 의료 현장의 피해 복구와 중장기적인 교육 및 수련 환경 개선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당사자 참여를 보장하라”고 주문했다.
의대생들은 올해 정부가 설정한 복귀 시한을 넘겼다. 이 때문에 전국 40개 의대에서 8305명의 유급이 확정된 상태다. 의대 학사 일정은 1년 단위로 이뤄져 올해 1학기 유급 조치를 받았으면 내년에야 복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대생들이 2학기 수업에 복귀하려면 정부, 대학 당국과 의대들의 별도 대책이 필요하다.
의대 교육 현장에서는 2024년 입학생과 2025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더블링’이 진행 중이다. 내년에는 2026학번까지 들어오기 때문에 ‘트리플링’이 현실화될 수 있다. 교육 인프라 부족으로 의대 교육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다만 2024~2026학번은 교양 중심의 예과 수업을 받기 때문에 학사 파행 우려가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사직 전공의 복귀 움직임도 가시화되는 흐름이다. 정치권과 의협은 공동 입장문에서 “전공의 수련 재개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국회, 의료계는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실무 논의를 신속히 진행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