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정부 1기 내각으로 지명된 16명의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이번 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지만 야권에선 벌써 ‘맹탕 청문회’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장관 후보자들이 각종 의혹에 대해 “청문회장서 소명하겠다”며 모르쇠 전략으로 버티고 있어서다. 말잔치만 요란했던 김민석 국무총리 사례가 반복될 전망이지만 야당도 여론전 외엔 뾰족한 대응 방안이 없어 고심하고 있다.
곽규택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13일 “장관 후보자 면면은 한숨이 절로 나올 정도인데, 더 심각한 건 태도”라며 “자료는 내놓지 않고, 증인은 피하고, 질문엔 침묵한다. ‘청문회 무력화 작전’이 시작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송곳 검증’으로 무능과 무책임의 민낯을 벗기겠다”며 총공세를 예고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후보자들의 버티기 전략에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통화에서 “할 수 있는 건 여론전뿐”이라며 “최대한 공세를 펴려 하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혁신위원회의 활동으로 자중지란에 빠진 내부 상황도 화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한 중진 의원은 “청문회 정국이 끝난 다음에 혁신안도 내야지, 청문회 중에 이러니 청문회 이슈가 죽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각 후보자에게 제기된 의혹이 충분히 해명 가능한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일부 후보자에 대한 부적절 논란 역시 중도하차시킬 만큼 여론이 악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관련 의혹은 충남대 연구윤리검증위원회가 문제없다고 판단했다”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갑질 논란도 충분히 해명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전원 통과’를 자신하며 청문회를 지켜보자는 분위기다. 진성준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원칙적으로는 (대통령의 인사권을) 뒷받침해야 옳다”며 “후보자가 어떻게 소명하는지 들어보고 도무지 납득되지 않는다면 심각하게 고려할 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형민 최승욱 이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