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명한 고위공직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오늘부터 시작된다. 이재명정부의 첫 내각을 구성할 장관 후보 17명에 대한 청문회가 이번주 5일 내내 이어진다. 국회는 후보자들의 정책 역량과 도덕성을 심층적으로 검증해야 한다. 여당은 이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믿고 청문회 검증을 통과의례 정도로만 여기는 후보들을 무조건 감싸는 태도를 보여서는 안 된다. 국민들의 기대와 눈높이에 맞지 않는 공직후보자들이 청문회에서 걸러지지 않으면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추락할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게 제기된 논문 표절 의혹은 그냥 넘어가기 어려운 사안이다. 충남대 총장 출신인 이 후보자가 교수 시절 작성한 논문 130개 중 최소 11개 논문에서 제자들의 논문을 표절한 사례가 드러났다는 보도가 있었다. 출처를 표기하지 않고 갖다 쓴 표절 문장이 전체 논문에서 20~45%에 달한다는 것은 이 후보자의 연구 윤리 의식을 의심하게 만든다. 비문과 오타, 엉터리 영어 표기까지 똑같은 논문들을 보면 이 후보자가 제자들의 논문을 베끼거나 연구 실적을 가로채는데 아무 거리낌이 없었던 것 같다. 학문 윤리를 준수하도록 지도하고 모범을 보여야 할 교육부 장관 후보로서는 치명적인 결격 사유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기도 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보좌관들에 대한 갑질 의혹으로 많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자신의 보좌관에게 자택 화장실 변기를 수리하게 하거나 집안 쓰레기 분리수거 업무를 강요했다는 의혹은 직장 갑질에 민감한 젊은 세대들의 반감을 살 일이다. 변기 수리를 지시한 정황으로 보이는 녹취록이 공개되는 등 드러난 증거와 제보들은 강 후보자의 해명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 어렵게 한다.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성평등과 인권의 가치를 수호해야 할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 합당한 인물인지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인수위원회를 거치지 않은 이재명정부의 인사검증이 완벽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후보자들의 결격 사유가 드러나 여론이 악화되는데도 이들을 전부 감싸 안고 가려는 태도는 새 정부의 국정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청문회에서 의혹이 충분히 해명되지 않는다면 후보 교체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