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최대 무역 파트너인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다음 달 1일부터 각각 상호관세 30%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을 트루스소셜에 올렸다. 트럼프는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EU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제품에 대해 모든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로 3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어떤 이유로든 관세를 인상하고 보복하기로 한다면 인상하기로 한 만큼의 수치가 30%에 추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EU에 대한 상호관세율은 지난 4월 처음 발표된 20%에서 10% 포인트 올랐지만 최근 트럼프가 50%로 올릴 것이라고 위협한 것보다는 낮아졌다.
트럼프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도 30%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멕시코는 여전히 북미 전체를 마약 밀매의 놀이터로 만들려는 카르텔들을 막지 못하고 있다”며 “멕시코가 카르텔에 맞서고 펜타닐 유입을 막는 데 성공한다면 우리는 이 서한의 내용을 조정하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멕시코는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 체결국으로 4월 상호관세 발표 대상에선 빠졌다. 대신 트럼프는 마약 반입을 이유로 멕시코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책정했다가 USMCA 적용 품목(멕시코 수출품의 87%)은 관세를 면제했다. 이번 상호관세도 USMCA 적용 품목은 면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미국 언론은 전했다.
트럼프는 EU에는 무역 적자, 멕시코에는 합성마약 펜타닐 유입을 관세 부과의 주된 이유로 들었다. 다만 앞서 한국과 일본에 보낸 서한과 마찬가지로 관세 조정의 가능성은 열어뒀다.
EU에선 협상과 보복 대응 목소리가 함께 나왔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날 성명에서 “우리는 8월 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필요하다면 비례적 대응을 포함해 EU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엑스에서 “EU 집행위가 유럽의 이익을 단호히 수호해야 한다.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보복 조치를 준비하는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런 관세가 부과되지 않도록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라고 서한에 명시돼 있다”며 협상에 방점을 찍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