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박찬대 의원이 8·2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로 10일 나란히 등록했다. 이번에 뽑힐 대표는 정권 교체 뒤 첫 집권당 대표라는 점에서 그 역할이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이재명정부의 국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돕고, 야당과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해 국정에 필요한 입법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뒷받침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국정의 방향이 잘못되면 쓴소리도 해야 한다. 또 계엄과 탄핵 사태, 대선 등을 치르며 극심하게 분열된 국론을 다시 모으는 데에도 힘을 보태야 한다.
하지만 어제 두 후보 메시지에선 그런 역할에 대한 포부는 찾기 어려웠다. 대신 정 후보는 “시간낭비형 협치 당대표는 하지 않겠다. 싸움은 당에서 할 테니 대통령은 일만 하시라”고 밝혔다. 또 “이재명 대표 시절 내가 짝꿍이었다, 이 대표를 위해 적극 싸웠다”고 덧붙였다. 박 후보도 “대통령과 정부가 내딛는 발걸음에 정확히 맞추는 여당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힘을 겨냥해 “내란범을 배출한 정당에 국고보조금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이런 메시지가 강성층 지지를 얻기 위한 전략이겠으나 아무리 그래도 집권당 대표가 되겠다는 이들이 하나같이 대통령 의중만 좇겠다는 말만 하고, 투쟁만 부각해선 곤란하다. 여당이 대통령과 보조를 맞출 필요는 있지만 대표 후보들이 벌써부터 ‘충성 맹세’ 경쟁에 나선 것처럼 비치면 자칫 수직적 당정 관계를 낳을지도 모른다. 집권당 대표라면 대통령을 돕는 동시에 건전한 견제 역할도 마다하지 말아야 한다. 국민의힘이 대통령실 눈치만 살피며 줄 서기 정치를 하다가 ‘용산의 출장소’로 전락하고 계엄도 막지 못했다고 비판한 게 바로 민주당 아닌가.
아울러 이 대통령이 취임 뒤 야당과 협치하고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듯, 여당 대표 후보도 이제는 야당이나 반대 세력에 대한 시각이 달라져야 한다. 그들을 포용해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입법도 잘 되고, 국론도 모아져 국정이 더 잘 굴러갈 수 있다. 두 후보 모두 남은 기간만큼은 투쟁이나 친명 선명성 경쟁에서 벗어나 정치를 정상화하고 나라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놓고 겨루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