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영 전문가 10명 중 4명은 향후 5년간 한국의 성장 추세가 낮은 수준에서 정체되는 ‘L자형’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 성장 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1년 이내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기업투자 활성화와 대외통상 전략 수립이 꼽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경제·경영 전문가 102명을 대상으로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성장 추세를 묻는 질문에 40.2%가 L자형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점진적 우하향 추세라고 응답한 21.6%까지 합하면 전체의 61.8%가 부정적으로 전망한 것이다. 점진적 상승은 17.2%, 초기에 낮으나 갈수록 회복은 16.7%에 그쳤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0.88%로 집계돼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최근 전망(0.8%)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새 정부가 출범 1년 내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을 3순위까지 묻는 질문에는 기업투자 활성화(69.6%)와 대외통상 전략 수립(68.6%)을 택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부동산 안정·가계부채 관리(44.1%), 소비 진작(35.3%), 환율·금융 안정화(32.4%)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5년간 중점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미래 첨단산업 육성(75.5%)과 저출생·고령화 대응(58.7%)이 꼽혔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AI발 기술혁명, 글로벌 무역질서 변화,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으로 우리 경제의 기본 전제가 변화하고 있는 만큼 구조적 관점에서 새로운 접근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