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 키’잡은 윤희숙… “당원 중심 정당 만들겠다”

입력 2025-07-09 18:47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9일 국회 의원총회에서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윤 위원장은 “혁신의 주체는 우리 당원이어야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며 재창당 수준의 혁신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병주 기자

윤희숙 국민의힘 신임 혁신위원장은 9일 “여의도 원내가 아닌 당원 중심의 정당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당원으로부터 시작되는 상향식 의사결정 구조를 정착시켜 당 지도부 혹은 소수 실력자들이 전권을 휘둘러왔던 당의 체질을 바꿔나가겠다는 구상이다.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린 ‘인적 청산’도 “어떤 가능성도 닫아 놓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어야 한다. 혁신의 대상이나 범위를 정하는 것도 당원이어야 한다”며 “당원이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게 혁신위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구체적 혁신안을 공개하진 않았으나 “재창당 수준의 혁신안을 마련해 두 번 정도 전 당원 투표를 가동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민께서 국민의힘에 가장 많이 하는 말씀이 ‘정당 문 닫으라’는 것”이라며 “국민 눈높이에 맞추기 위해선 정말 당을 닫았다가 다시 여는 정도의 혁신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게 가장 최상위 원칙”이라고 말했다.

당원 의견을 수렴하고 주요 의사 결정에 반영하는 구조로 시스템을 개편해 ‘당원 민주주의’를 실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현재 국민의힘은 전당대회를 제외하면 당원 권리 행사가 제한적이다. 당론 역시 의원만 참여하는 총회를 통해 결정된다. 윤 위원장은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이 제시했던 ‘전 당원 여론조사’에 대해서도 “분명 하나의 대안”이라고 평가했다.

윤 위원장은 안철수 의원이 주장했던 ‘인적 청산’에는 “특정인에게 칼을 휘두를 권한을 우리 당원은 어떤 개인에게도 준 적이 없다”며 “혁신은 특정 개인이나 계파의 전유물이 아니다”고 거리를 뒀다. 대선 백서 작업도 “워낙 시간이 적기 때문에 혁신위가 해야 할 일과 그 이후에 지도부가 해야 할 일에 대한 구획이 좀 필요하다”고 했다. ‘당원의 뜻이 전임 지도부 책임론으로 모인다면 인적 쇄신도 가능하냐’는 질문에는 “국민이나 당원이 원하는 대로 하는 게 당연하다”고 답했다.

윤희숙 혁신위에서도 ‘전권’은 주어지지 않는다. 윤 위원장은 “전권을 갖고 안 갖고는 중요하지 않다. 지도부가 다 같이 망할 작정이 아니라면 (혁신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혁신위는 10일부터 6인 체제로 첫 회의를 열 계획이다. 앞서 당은 최형두 의원,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김효은 전 교육부 장관 정책보좌관 등 4명을 혁신위원으로 임명한 바 있다. 안 의원과 함께 혁신위에서 사퇴한 송경택 위원 자리에는 배지환 수원시의원이 대신한다.

당내에서는 인적 쇄신의 뚜렷한 약속 없이 재출범하는 혁신위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은 SBS라디오에서 “총선까지 3년이 남아 있다. 청산 대상들이 똘똘 뭉쳐서 혁신위를 좌초시키거나 공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우진 이강민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