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생태계 전반에 안전 장착”… 전기차 화재 예방 머리 맞댔다

입력 2025-07-09 00:53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막기 위해 각국 정부가 전기차 확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를 방해하는 큰 요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게 전기차 화재다. 정부·기업·학계 전문가가 한데 모여 전기차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세계e-모빌리티협의회(GEAN)는 8일 제주신화월드에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하고 전기차 안전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주제 발표를 한 박용선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배터리 제조 단계부터 폐기까지 생태계 전반의 안전 정착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배터리 사전 인증제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2027년까지 사용 후 배터리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정창호 현대자동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현대차·기아의 배터리·전기차 안전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정 실장은 “전기차 경쟁력의 중심엔 배터리 시스템이 있다”며 “배터리 안전 확보 관점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다중 안전망 구축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종욱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는 차세대 e-모빌리티 안전 기술 트렌드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활용한 이상 감지 시스템과 배터리 팩 내부의 확산 방지 기술 등 화재 예방부터 발생 후 확산 억제까지 다양한 안전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대환(사진) 세계e-모빌리티협의회 회장은 “정부의 정책 방향, 완성차 업계의 기술 혁신, 글로벌 동향을 공유함으로써 전기차 안전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높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주=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