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 취임 첫달 폭염·산재대책 등 집중 업무계획표 공개

입력 2025-07-08 18:53 수정 2025-07-08 18:58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 후 첫 30일 업무계획을 담은 ‘10×3 플랜’을 8일 밝혔다. 총리 취임 후 한 달을 10일씩 나눠 안전, 질서, 민생 등의 시급한 과제들을 순차적으로 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총리는 취임 첫 10일간 폭염, 호우 등 각종 사고 예방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국무총리로서 첫 30일간 국정 파악과 업무 시스템 정비에 집중해 국정의 중심인 대통령의 국정 운영이 안정되도록 보좌하겠다”며 업무계획을 공개했다. 국무총리가 취임 초기 자신의 업무계획을 직접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김 총리는 우선 취임 후 첫 10일 폭염, 호우 등 자연재난과 산업재해 등 각종 사고 예방에 집중하겠다고 언급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 자살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계획도 전했다.

김 총리는 “두 번째 10일은 공직사회의 시스템 점검에 주력하겠다”며 “공직사회의 내란 후유증을 해소하고, 창조적이고 적극적인 제안과 토론을 격려하고 포상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 10일의 주력 과제로는 정책 점검을 꼽았다. 그는 “각 부처가 점검하고 국정기획위원회가 기획한 다양한 정책을 현실 정책으로 마감할 준비를 하겠다”며 “민생물가를 챙기고, ‘직장인 든든한 점심밥’ 같은 대표정책을 개발, 민생지원금의 현장 도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부연했다.

김 총리는 또 “정권교체 이후의 주가 상승 등 긍정적 심리효과에만 기대하기에는 경제적 위기와 성장잠재력 저하가 너무 구조적이고 절박하다”며 “국민의 에너지를 모아내기 위해 경제 위기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국민과의 소통을 위해 총리가 직접 주관하는 사회적 대화 플랫폼 ‘K토론나라’를 격주 단위로 운영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총리와 전문가 패널의 토론 과정을 공개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정세균 전 총리가 진행했던 ‘목요 대화’와 비슷한 방식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이재명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전략에 따라 한 달에 1주는 세종 공관에서 지내며 근무하는 ‘세종주간’을 갖기로 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