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가 인수자 찾기에 난항을 겪고 있다. 홈플러스는 실제 인수에 필요한 자금이 1조원 이하이고 보유 자산 대비 부담이 크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시장의 반응은 싸늘하다.
홈플러스는 8일 입장문을 통해 “자사가 보유한 부동산을 담보로 자금을 차입하고 나머지 부족분을 현금으로 보완한다면 실제로 투입해야 할 자금은 1조원 이하로 축소될 수 있다”고 밝혔다. 삼일회계법인이 법원에 제출한 회사 존속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총자산은 약 6조8500억원이고 부채는 약 2조9000억원이다. 약 4조원이 순자산인 셈이다. 브랜드와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반영하면 전체 기업가치는 약 7조원으로 평가된다는 계산이다.
기업 가치 대비 실제 인수에 필요한 금액은 이보다 훨씬 낮은 3조7000억원 수준이라는 게 홈플러스 측 주장이다. 기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5000억원 규모의 보통주 투자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지 않기로 하면서, 새로운 인수자는 신규 자금 투입만으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홈플러스는 약 4조8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홈플러스 측은 “일반적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하면 약 2조원가량의 자금을 차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경우 즉시 상환이 요구되는 채권 규모를 감안해 실제로 투입해야 할 자금은 1조원 이하로 축소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인수 구조를 홈플러스는 ‘전세 낀 아파트’에 빗대 표현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7조원짜리 아파트에 2조9000억원의 전세가 있고, 전 주인이 자신의 지분을 포기한 상황”이라며 “새 주인은 부동산을 담보로 2조원을 차입하고 나머지를 현금으로 메우면 실제로는 1조원 이하의 자금만으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홈플러스 인수에 신중한 분위기다. 대형마트 업황 부진과 오프라인 유통업 전반의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에서다. 약 2만명에 달하는 임직원 규모와 강성 노동조합도 인수자 입장에서는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홈플러스 매각 주간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이달 중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르면 다음 달 본입찰을 거쳐 오는 9월 말 최종 인수 예정자를 확정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뚜렷한 인수 후보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가결 기한은 내년 3월 4일이다. 홈플러스는 먼저 인수 의사를 보인 수의계약자와 사전 계약을 맺은 뒤에 경쟁입찰로 좋은 조건을 제시할 다른 인수자를 찾는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 방식으로 M&A를 추진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수자가 끝내 나타나지 않을 경우 부동산 자산을 매각하고 법인을 해산하는 청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이 경우 대규모 실직 사태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주은 김성훈 기자 ju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