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신도시와 화명·금곡지구가 각각 통합 재건축에 들어간다. 특·광역시 중 첫 노후계획도시 종합계획 사례다.
부산시는 9일부터 해운대 1·2지구 17곳과 화명·금곡지구 21곳 등 총 38개 특별정비예정구역을 포함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에 대한 주민공람을 실시하고, 1단계 대규모 정비 사업에 착수한다고 8일 밝혔다.
해운대 1·2지구는 1997년 준공된 3.05㎢ 규모 택지개발지구로, 37개 단지에 총 2만8832가구가 입주해 있다. 이 중 13개 단지가 통합 재건축 대상이며, 시 공유지 3곳과 해운대 주공아파트 등을 포함해 총 17곳이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사실상 신도시 전체가 포함된 셈이다.
해운대의 기준 용적률은 기존 250%에서 360%로 상향됐고, 연립주택은 210%로 적용됐다. 화명·금곡지구(2.71㎢, 2만5561가구)도 기존 235%에서 350%로 상향되며, 21개 구역이 정비 대상이다. 시는 두 지역에 각각 2500가구(화명·금곡), 3200가구(해운대) 규모의 선도지구를 지정해 우선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정비는 단순한 재건축이 아니라 ‘부산형 15분 도시’ 구상과 연계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시는 공공복합시설, 스마트 교통, 자족 상업시설 등을 통해 주거·일자리·교육·돌봄 기능이 통합된 생활권으로 재편하겠다는 방침이다. 해운대는 ‘그린시티’, 화명·금곡은 ‘휴메인 도시’를 비전으로 내세웠다.
시는 공공 기여율을 기준 용적률 이하 10%, 초과 시 41%로 설정해 조합 부담을 낮췄다. 법정 최저 수준이다.
시는 10월 선도지구 공모를 마친 뒤 12월 최종 선정하고, 국토교통부 심의를 거쳐 연내 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다대, 만덕, 모라, 개금·당감 등 4개 지구에 대한 2단계 정비계획도 이달 중 착수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정비계획은 기존 개별 재건축의 한계를 뛰어넘는 도시 구조 재편”이라며 “시민 주거의 질을 높이고 부산을 미래 도시로 전환하는 기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