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 증가와 시장 내 경쟁 심화, 소비 심리 위축 등 경영 환경에 비우호적인 요인이 늘어나면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LG전자는 연결 기준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이 6391억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46.6%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1분기에 비하면 49.2% 줄어든 것이다. 매출 역시 20조74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전 분기 대비 8.8% 각각 하락했다.
LG전자는 주요 시장의 소비심리 회복이 지연된 상황에서 미국 통상정책 변화로 관세 비용 부담이 가중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관세 정책 시행으로 제품 생산 비용이 증가하면서 가전 업계의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지난 4월부터 대부분 국가의 수입품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LG전자는 관세가 면제된 멕시코 몬테레이 외에 경남 창원과 베트남 하이퐁 등에서도 미국향 수출 가전을 생산하고 있어 기본관세 영향권에 들었다.
LG전자의 가전 매출 중 미국 비중이 약 30%에 이른다는 점도 부담이 됐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세탁기와 냉장고 등 생활가전에도 50%의 철강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하는 등 당분간 관세 리스크는 지속될 전망이다.
물류비 증가도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부피가 큰 대형 가전은 해상운임과 같은 물류비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최근 중동 사태 등 국제 정세 불안이 지속하면서 물류비가 증가했다. LG전자는 “지난해에도 글로벌 해상운임이 크게 올라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줬다”며 “다만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물류비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사업별로 보면 TV, 노트북 등을 판매하는 미디어사업부(MS본부)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전 세계적으로 TV를 포함한 내구소비재 수요가 둔화되고, 액정표시장치(LCD) 가격이 상승하면서 원가 부담이 늘어난 탓이다. 여기에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의 거센 추격으로 경쟁이 심화하면서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다.
이에 비해 기업간거래(B2B) 성장을 주도하는 전장(전자 장비)·냉난방공조(HVAC) 사업은 건전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LG전자는 하반기에는 질적 성장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우선 전장 사업은 차량용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HVAC에서는 성장하는 유럽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