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고강도 대출 규제의 효과가 부동산시장에 즉각 반영되고 있다. 서울 전역에서 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거래가격이 급감했고, 대출 여력이 부족한 이들의 계약취소도 속출하고 있다.
6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3일까지 1주일간 서울 25개 구에서 매매된 아파트는 총 577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출규제 직전 1주일(6월 20~26일) 1629건보다 1052건(64.6%) 줄어든 수치다. 실거래 신고기한이 약 한 달 남아 거래량이 늘 수 있지만, 전례 없는 강력한 규제로 시장이 일시 냉각됐다는 게 중론이다.
지역을 가리지 않고 25개 구 전방위적 감소세다. 이 기간 강남 3구 거래량은 송파 95.8%(24→1건), 서초 93.3%(15→1건), 강남 68.4%(76→24건) 감소했고, 마용성은 마포 66.3%(86→29건), 용산 21.4%(14→11건), 성동 53.8%(93→43건) 줄었다. 외곽지역도 ‘노도강’ 가운데 노원은 58%(143→60건), 도봉 47.9%(48→25건), 강북 28.6%(21→15건) 줄었다. 용산·도봉·강북을 뺀 22개 구 거래량 감소 폭은 50%를 웃돌았다.
거래량이 줄면서 이 기간 서울 아파트 전체 거래금액도 1조9319억원에서 67.3% 줄어든 6319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대책 발표 전 1주일간 거래금액이 2223억원이던 강남은 71.3% 줄어든 637억원, 서초는 97% 줄어든 15억원, 송파는 89.9% 감소한 43억원이었다.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도 속출하고 있다. 정부가 규제 시행 전 수요 쏠림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표 다음 날 즉각 규제를 시행한 게 바로 효과를 봤다는 분석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계약일이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3일까지인 서울 아파트 매매 중 ‘계약 해제 사유 발생일’이 27일 이후인 사례는 125건으로 집계됐다. 6억원 이상 고액 대출을 고려했다가 급히 거래를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호가를 반영하는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서는 지난주(6월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0.40%로 전주(0.43%)보다 오름폭만 소폭 줄었으나 시차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현장과 통계에 조금씩 시차가 있다”며 “대출규제로 최근 과열됐던 수요가 단기적으로 잡히는 모습”이라고 해석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에 따른 효과가 단기적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서울 아파트 불패 신화’에 대한 시장의 믿음이 견고하기 때문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서울 집값은 ‘주춤했다가 다시 오르겠지’ 하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라며 “6억원 이상 대출을 받아야 하는 사람들을 잠시 늦춘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불안 심리를 잠재우고 공급 부족 우려에 답을 줘야 한다. 수요 억제만 고집하면 문재인정부처럼 꼬일 것”이라며 “후속대책에 따라 빨리 안정될 수도, 다시 상승할 수도 있는 갈림길”이라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