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혹 이어지는 이진숙 후보자… 교육 수장 자격 입증해야

입력 2025-07-07 01:10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30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인사청문회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윤웅 기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충남대 총장 시절 충남대·한밭대 통합의 강압적 추진과 평화의 소녀상 철거 갈등이 불거진 데 이어 논문 중복게재 의혹, 인간 대상 실험 필수조건의 논문 누락 문제도 나왔다. 연구윤리 위반 및 교육 주체 간 갈등 유발은 교육부 장관에겐 중요한 검증 요소인 만큼 이 후보자는 교육 수장을 맡을 자격을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 후보자는 2018년 교수 재직 시절 조명의 면적과 조도의 변화에 따른 피로감 관련 논문 2편을 각기 다른 학회지에 발표했다. 학계에선 통상 논문 유사도 20%를 학회지 ‘게재 불가’ 마지노선으로 여기는데 두 논문의 전체 유사도는 35%에 달했다. 두 논문은 실험 단계부터 유사 문장이 많았고 실험 참여자 조건 역시 일치했으며 실험 결과와 논문 결론도 흡사했다. 대학원생과 학부생 등 제자 18명의 눈에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는 실험을 진행하면서 논문에 인간 대상 실험의 필수 조건인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 피실험자의 자발적 동의 확보 여부 등을 기재하지 않은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주요 국내외 학술지는 IRB 승인 번호·승인일과 피험자의 자발적 동의 여부를 논문에 의무적으로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이 후보자 측은 “학생들에게 충분한 사전 설명과 경제적 보상을 제공했다”며 관련 절차를 모두 이행했으나 투고 학회에 관련 규정이 없어 논문에 기재하지 않았을 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지시를 거부하기 어려운 제자들을 실험에 참여시킨 것 자체가 연구윤리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있다. 이 후보자가 과거 한 학회 회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학회 행사장에서 소란을 피워 장소를 대관해준 이들에게 공개 사과를 한 일도 있었다고 한다.

그에 대해 충남대 학생·교수·동문들이 문제제기를 하고 있고 학계에서는 연구윤리 위반을 둘러싸고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야당이 철저한 검증을 벼르고 있는 가운데 진보 성향 교육단체들까지 전문성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여권 내에서도 쌓여가는 각종 의혹을 부담스러워하는 상황인 만큼 “청문회에서 모든 것을 설명하겠다”는 식으로 대응하는 건 적절치 않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 일정과 관계없이 서둘러 제기된 의혹에 대해 명확하게 해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