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사진) 이재명정부 초대 국무총리가 3일 국회 임명동의안이 통과되자 일성으로 “폭정세력이 만든 경제위기 극복이 제1과제”라고 말했다. 김 총리 임명동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전원이 불참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강행 처리됐다.
김 총리는 국회 임명 동의를 받은 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님의 참모장으로서 일찍 생각하고 먼저 책임지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고 첫 소감을 밝혔다. 이어 “국민의 뜻을 하늘같이 받들고, 대통령님의 방향을 바닥에서 풀어내고, 여야를 넘어 의원님들의 지혜를 국정에 접목하겠다”며 “위대한 국민, 위대한 정부, 위대한 대통령의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김 총리가 바로 여러 가지 산적한 국정 현안을 직접 챙기고 발로 뛸 것으로 기대한다”고 환영했다.
앞서 우원식 국회의장은 오후 본회의를 열어 “양 교섭단체의 뜻이 모이지 않은 상태에서 국무총리 인준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아쉽지만 더 시간을 지체할 수 없다는 판단을 했다”며 임명동의안을 직권 상정했다. 무기명 투표 결과 재석 의원 179명 가운데 찬성 173명, 반대 3명, 무효 3명으로 가결됐다. 우 의장이 가결을 선포하자 민주당에선 박수와 환호가 터져 나왔다. 일부 의원들은 김 총리에게 다가가 악수하며 격려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표결이 이뤄지는 동안 국회 로텐더홀에서 규탄대회를 열었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오늘 우리는 이재명 정권과 민주당의 독재 폭거를 또다시 목격했다”며 “부적격자 인준 표결을 강행한 건 국민을 무시한 독단이자 야당을 배제한 독주, 민주주의를 조롱한 폭거”라고 비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곧바로 임명동의안을 재가하면서 김 총리는 제49대 총리로 취임하게 됐다. 지난달 4일 이재명정부 출범 29일 만이자 이 대통령이 국회에 임명동의안을 제출한(6월 10일) 지 23일 만이다. 김대중정부 시절 김종필 전 총리(167일)에 이어 두 번째로 더딘 인준이다. 한덕수 전 총리는 윤석열정부 출범 10일 만에, 이낙연 전 총리는 문재인정부 출범 21일 만에 국회 인준을 받았다.
김혜원 이강민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