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관세협상 8일까지 쉽지 않아… 쌍방 요구 정리 안돼”

입력 2025-07-04 02:04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첫 공식 기자회견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에 참석해 질문을 받고 있다. 김지훈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토로했다. 미국이 설정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닷새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불확실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한 달을 맞아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관세 협상이 매우 쉽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면서 “오는 8일까지 끝낼 수 있는지도 확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8일은 미국이 상호관세 유예 시한으로 정한 날이다.

이 대통령은 “지금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도 “쌍방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호혜적인 결과를 만들어내야 하는데, 아직도 쌍방이 정확하게 뭘 원하는지 명확하게 정리되지 못한 상태”라고 털어놨다. 미국 측은 관세 협상에 성실히 임하는 국가에 유예 기한을 추가로 연장해줄 수 있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불과 하루 전 일본을 지목해 “매우 강경하고 버릇이 없다”며 상호관세율을 더 높일 수 있다고 경고하는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계속 노력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다방면에서 우리의 주제도 매우 많이 발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일 관계에 대해서는 우호적이며 협력적인 태도를 견지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사이는 예민한 의제들이 많지만 일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양국은 가깝고도 먼 나라이자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이라며 “북한 핵·미사일 대응 등 안보 문제나 경제 사안 등에서 협력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노출돼 있다는 점과 미국과 특수한 동맹 관계에 있다는 공통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특히 한·일 양국 간 셔틀외교 복원은 자신이 먼저 제안했다며 “사실 좀 이른 시간에 일본에 한번 갈 생각이었는데 일본이 선거 때문에 매우 바빠져 얘기하던 중 날짜를 확정하지 못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다만 독도 관련 문제에는 단호한 입장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독도는 대한민국이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영토이기 때문에 영토분쟁이라고 할 수 없고 논쟁으로 표현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그러면서도 “이 두 가지(과거사 문제와 한·일 협력)를 뒤섞을 필요는 없다”며 “전쟁 중에도 외교는 하는 것처럼 대화와 협력을 해야 한다. 오른손으로 싸워도 왼손은 서로 잡는 유연하고 합리적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 관계 개선 의지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간 든든한 공조 협의를 바탕으로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며 “대화를 전면 단절하는 것은 정말 바보짓”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자신이 취임 직후 단행한 대북방송 중단에 북한이 적극적으로 호응해 온 것에 대해 상당한 만족감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북한 호응이 기대 이상이었다”며 “대화와 소통을 통해 하나씩 하나씩 긴장을 완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흡수통일’을 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밝혔는데, “누가 흡수당하고 싶겠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한다”고 말했다.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했다. 이 대통령은 “매우 복잡하다. 국내 인권 문제도 잘 해결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북한 대중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인도적 지원을 하는 것도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최승욱 윤예솔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