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시멘트·자갈·모래·물 등을 섞어야 콘크리트가 되고, 시멘트만 잔뜩 모으면 그냥 시멘트 덩어리가 된다”며 “차이는 불편한 것이기도 하지만 시너지의 원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유임을 비롯해 일부 인사에서 지지층이 반발하자 ‘콘크리트’ 통합인사론을 내세운 셈이다.
이 대통령은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저는) 대한민국 전체를 대표하는 대통령 직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로 우리 국민이 하나로 모일 수 있는 통합의 국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취임 후 단행한 일련의 인사에 대해 “최선을 다했지만 국민 눈높이나 야당, 우리 지지층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측면도 있어 보인다”며 “국민이 하나로 모일 수 있는 통합의 국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지층에선 송 장관 유임과 검찰 출신 민정수석 기용 등에 대한 불만을, 보수 진영에선 국민 통합 성격이 부족하다는 등의 지적을 내놓는 걸 염두에 둔 발언이다.
이 대통령은 “다 골라내서 한쪽만 쓰면 결국 끝없는 전쟁이 펼쳐진다”며 “기본적 역량을 갖고 있고, 국가와 국민에게 충직한 기본적 자세를 갖고 있으면 다 같이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질이 없거나, 부정부패하거나, 무능하거나, 이기적인 인사를 하면 문제가 되겠지만 ‘성향이 다르다’ ‘누구와 관련이 있고 친하다’ 이런 것으로 판단해 배제하기 시작하면 남는 게 없다”며 “이건 어쩌면 정치보복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성남시장·경기도지사 등 ‘변방’ 출신으로 중앙 정치권에 믿고 쓸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한 이 대통령의 현실적 상황도 반영됐다고 본다.
이 대통령은 검찰개혁 지휘 라인에 검찰 출신이 포함된 데 대해서도 “원만하게, 더 신속하게 될 수 있도록 하려면 대통령실 안에도, 정부 안에도 검찰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 (개혁 역할을) 맡는 것이 유용하겠다는 판단을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야당과의 협치에 대해선 “다 국민의 선택을 받은 국민의 대리인, 대표이기 때문에 충분히 존중받아야 하고 또 저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자주 만나뵐 생각”이라며 “비공식·비공개 모임도 자주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공적인 일에는 사적 이해관계가 배제돼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하나 저렇게 하나 별로 관계없을 경우가 많다. 그런 건 양보할 수 있다”며 “도달하는 길과 목표는 똑같은데 오른쪽으로 갈 거냐, 왼쪽으로 갈 거냐 혹은 버스, 비행기, 차 가운데 무얼 타고 갈 거냐 같은 건 양보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양보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타협과 야합, 봉합과 통합 이런 것은 구분해야 한다. (야합과 봉합이 아닌) 협의와 통합에 필요한 것들은 제가 많이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동환 최승욱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