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2일(현지시간) 베트남과 무역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은 베트남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를 기존 46%에서 20%로 절반 이상 낮췄고, 베트남은 무관세로 미국에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서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 후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했음을 발표하게 돼 영광”이라며 “이는 우리 두 나라가 협력하는 위대한 합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시행을 90일간 유예한 이후 미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한 나라는 영국에 이어 베트남이 두 번째다. 아시아 국가로는 베트남이 첫 번째 무역 합의국이다.
트럼프는 합의 내용과 관련해 “미국 영토로 들어오는 모든 베트남산 상품에 대해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환적(제3국이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 상품에 대해서는 4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그 대가로 베트남은 이전에 해본 적이 없는 조처를 함으로써 무역을 위한 그들 시장에 미국이 완전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시 말해 베트남은 미국에 시장을 개방할 것이며 이는 우리가 베트남에 제로(0) 관세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AP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베트남과의 무역에서 1220억 달러(165조84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과 멕시코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적자 규모다. 트럼프는 이번 합의로 베트남 시장을 개방해 특히 미국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대형 엔진 차량이 베트남으로 수출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트럼프가 별도로 언급한 환적 상품은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제품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고문은 그동안 베트남이 중국산 제품을 라벨만 바꿔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며 “중국의 식민지”라고 비판했다. 뉴욕타임스는 “베트남 같은 국가가 중국 제조업체들이 미국 관세를 우회해 미국으로 상품을 들여오는 통로가 됐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비판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다만 환적 상품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향후 논쟁 불씨가 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폴리티코는 아시아 국가 외교관을 인용해 “다른 국가들은 베트남보다 불리하다고 여겨지는 조건은 수용하지 않으려 할 것”이라며 “이번 합의의 조건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협상에 임하는 방식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