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세번째 빈집 많은 경남, 종합계획 수립

입력 2025-07-04 00:23
경남도청

전국에서 세번째로 빈집이 많은 경남도가 빈집 활용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경남도는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늘어나는 빈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경상남도 빈집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고 3일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전국 단위 ‘빈집관리 종합계획’에 맞춰 수립한 경남도의 중장기 전략이다. 도내 빈집 현황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관리·정비·활용 전 주기에 걸친 실행 방안을 체계화했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빈집은 총 1만5796호로, 전남과 전북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다.

도는 ‘방치에서 활용으로’ 등을 비전으로 통합적 관리체계 구축, 정비 및 안전확보, 활용사업 확대, 민간참여 기반 조성 등 4대 전략을 설정하고 14개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빈집 관련 통일된 조례를 마련하고 광역 단위 빈집 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인 ‘빈집애(愛) 플랫폼’을 구축해 빈집의 발생, 현황, 활용 정보를 관리한다. 또 ‘경상남도 빈집정책협의회’를 구성해 민간 전문가와 내실 있는 지역형 정책을 수립한다.

빈집 밀집 구역에는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를 접목한 ‘안심골목길 조성사업’을 펼친다. 활용 측면에서는 지방소멸대응기금과 연계한 ‘그린 홈 어게인’ 사업으로 빈집을 청년 주거공간, 마을창업지원센터 등으로 리모델링한다. ‘빈집애(愛)’ 플랫폼에 빈집 매물을 공개하고 중개업체와 함께 거래도 지원한다.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빈집을 철거대상과 활용대상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맞춤형 지원방안이 필요하다”며 “행정과 민간이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빈집관리 모델을 정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