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카드사에서 받는 카드론도 신용대출로 분류하기로 했다. ‘영끌족’이 주택담보대출과 은행 신용대출에 카드론을 더해 주택 매매에 활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정부가 지난 27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에 따라 전 금융권에서 받을 수 있는 신용대출 한도는 연 소득의 이내로 제한해 카드사의 실적 타격도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된다.
2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카드사의 카드론이 신용대출에 포함된다는 유권해석을 여신금융협회와 카드사에 전달했다. 카드업계는 카드론을 신용대출에 포함하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저신용자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의견을 전달했지만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카드론은 서민의 급전 창구로 불리며 그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등 각종 규제에 제외돼왔다.
업계 관계자는 “신용이 높은 사람은 카드론만으로도 최대한도인 5000만원을 빌릴 수 있다”며 “정부는 이 돈이 주택 구매에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카드론은 담보 없이 신용으로만 대출된다는 점에서 신용대출과 유사하다. 실제로 과거 부동산 가격 급등기에 은행권 신용대출은 물론 카드론까지 동원하기도 했다.
다만 현금서비스는 신용대출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카드론보다 대출 한도가 작은 데다 다음 달 바로 갚아야 한다는 점이 고려됐다.
카드론이 신용대출에 포함되면서 카드사 실적 타격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카드사는 본업인 결제 수수료가 13년째 인하되면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등을 수익원으로 활용해왔다.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지난 5월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42조6571억원으로 두 달 연속 상승세였다. 업계에서는 이번 정부의 결정으로 카드론 잔액이 30%가량 줄어들면서 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카드사 실적을 갉아먹는 연체율을 자극 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우리와 하나·롯데·BC·현대카드의 연체율은 1년 전보다 상승했다. 2%가 넘는 곳도 네 곳(우리·하나·BC·KB국민)이다. 저신용자가 대환대출을 위해 카드론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카드론이 막히면서 연체율이 올라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업계는 카드론이 취약차주의 생계형 자금으로 활용되는 만큼 추후 집값이 안정화 된다면 신용대출에서 제외해줄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표적인 서민 금융 상품인 만큼 추후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