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인 가구 중 쪽방 거주 등 주거 취약 계층과 기초생활수급 계층에서 고독사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2024년 7~11월 지역 내 관찰이 필요한 7만8330가구(1인 가구)를 대상으로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고독사 (고)위험군 비율이 7.6%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1인 가구 증가, 사회적 고립 심화 등으로 고독사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했다. 보건복지부의 ‘고독사 위험자 판단도구 권고안’에 따라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평가 도구를 활용했다. 조사 대상은 중년(40~49세) 1인 가구 5만5213가구, 2023년 미조사된 장년층(50~64세) 1인 가구와 일부 청년 취약계층 1인 가구 2만3117가구다.
시는 특히 항목별 조사에서 취약점이 잘 드러났다고 밝혔다. 쪽방·여관(24.5%)과 고시원(22.1%) 등 주거취약지에 거주하는 가구가 원룸(15.2%)과 다가구·다세대 주택(9.0%), 단독주택(6.9%), 아파트(4.5%)와 비교해 위험군 비율이 두드러졌다. 또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수급자의 위험군 비율(31.7%)이 비수급자(5.5%)의 약 6배에 달했다.
근로 여부에 따른 차이도 뚜렷했다. 무직자의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17.6%로 근로자 고독사 위험군 비율 3.4%와 차이가 컸고 특히 질병으로 인한 무직의 경우 위험군 비율이 22.6%에 달했다. 가족관계 요인을 보면 이혼(14.1%)과 사별(10.8%) 등 비자발적 단절을 겪은 응답자가 상대적으로 위험군 비율이 높았다. 반면 독립·미혼은 6.4%로 낮았다.
시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취약계층 집중 조사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복지 수급정보와 연계한 선제 개입 시스템을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고독사 예방은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사회적 책임”이라며 “실효성 있는 대응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